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7.jpg
KCI등재 학술저널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과 사적정보

The Role of Private Information in KRW/USD Volatility

  • 3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외환시장의 고빈도 자료를 이용하여 원/달러환율의 변동성과 사적정보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다. 사적정보의 대리변수로 미시적 구조론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문흐름(order flow)을 이용하였다. 원/달러 환율의 시변변동성을 추정하여 사적정보가 환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적정보의 크기는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사적정보가 변동성 및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Hasbrouck(1991a, b)의 사적정보지표를 원용하였다. 분석결과 환율의 변동성과 사적정보는 역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분 자료를 이용하여 환율변동성 크기와 사적정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율변동성이 작을수록 사적정보의 환율 설명력이 줄어들었다. GARCH 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에서는 사적정보가 환율변동성을 축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private information on the KRW/USD volatility by using high frequency data. For measuring private information, this paper uses Hasbrouk’s information measures. Considering Hasbrouck’s possible misspecification problem, the paper expands trade informativeness using time varying volatility.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private information can have influence on volatility of exchange rate negatively. Some additional empirical fa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ttern of volatility and private information in intraday are U-shaped, inverted U-shaped, respectively. Hence, there is an evidence of private information’s role on volatility in Seoul foreign exchange market.

1. 서론

2. 문헌연구

3. 모형설정

4.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