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성 노인의 운동 효능감 영향 요인
Exercise Self-efficacy and its Predicting Factors Among Elderly Women with Total Knee Replacement
- 남혜리(Hye Ri Nam) 신동수(Dong-Soo Shin) 김진순(Jin Sun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4 No.6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2.12
- 3049 - 3060 (12 pages)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성 노인의 운동 효능감 정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60세 이상 여성 노인 120명이며 분석에 선정된 변수는 우울, 관절 가동 범위,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주관적 통증 정도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스피어만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 효능감은 우울(r=-.764, p<.001), 주관적 통증 정도(r=-.284, p<.001)와 유의한 역상관관계, 관절 가동 범위(r=.684, p<.001), 주관적 건강 상태(r=.627, p<.001)와는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운동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우울이 47.3%로 가장 설명력이 컸으며 관절 가동 범위, 주관적 건강 상태, 주관적 통증 정도를 포함하여 총설명력은 67.2%였다. 따라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성 노인의 운동 효능감 증진을 위해 수술 후 우울 감소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evel of exercise self-efficacy and its predicting factors among the elderly women aged 60 and older and received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Included factors were self-rated pain and health status, range of motion, and depression. Date were collected from 120 patients and were analyzed by the SPSS 19.0 program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ange of motion (r=.684, p<.001) and self-rated health status (r=.627,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ercise self-efficacy, while pain (r=-.284, p<.001) and depression (r=-.764, p<.001) did negatively. 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 67.2%.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exercise self-efficacy need to be focused on the level of depression of elderly women recovering total knee replacemen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