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자치 측면에서 행정학 교육에 대한 수요자 인식과 개선방향

Consumer s Perception on the Educ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in the Local Autonomy Perspectives

  • 2

국내 행정학 교육은 다양한 패러다임 속에서 연구 및 교육 분야에서 비약적인 성장을이룩하였다. 그러나 IMF 등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적인 변화는 각 분야에 다양한 영향을미쳤다. 특히 취업분야에 있어 실업률 증가로 인하여 보다 안정적인 직장을 요구함으로써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에 대한 관심도는 공공분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행정학 전공자들의 공공분야의 진출은 어려워지고, 외부적으로 행정학 출신 졸업자들의 전문성 부재로 인해 행정학과 관련된 졸업생들에게 이중부담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또한정보화로 인한 지식기반산업의 여파로 보다 고도의 기술과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는 현시점에서 대학 내의 행정학 전공자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에 대한 새로운 지표 및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본 연구는 행정학 전공자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를 위해 가장 중심에 있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제시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기 위해 수혜자 중심의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 내 행정학 관련 전공의 교과과정 및 수업 내용 등 다양한 영역별 평가에서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분석근거를 바탕으로 향후 미래지향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와 발전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often charged that the study of pubic administration education lacks and suffersfrom the actual analysis for the crisis overcome. This charge is grounded in apositivist belief in the unity of student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ist,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lacks and the actual analysis for the crisisovercome that would make it a true science. Regarding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ractice makes it possible, indeed necessary, toinclude all theories, curriculum, study application methods, and concepts in use and notjust those that are recommended and pursued by positivist. A conceptual map ofknowledge integration efforts in public administration illustrates why publicadministration cannot, and should not be, a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 and theadvancement process of public administration but rather must be understood as aninterdisciplinary study and practice.

Ⅰ. 머리말

Ⅱ. 행정학 교육의 실태 및 발달 배경

Ⅲ. 행정학 교육에 대한 수요자 인식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