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334.jpg
KCI등재 학술저널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Navigating Identity: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Field Professionals’ Views on Art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DOI : 10.52564/JAMP.2020.55.75
  • 552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재를 성찰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2010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이행안(로드맵)의 세 번째 목표인 지역 내 소수자와 이민자들을 포용하는 예술교육 전략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판 이론(critical theory)을 바탕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탈북 청소년이 체감하는 사회와 정체성 고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방법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탈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학습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들이 자신을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한 개인으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인적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동시에 탈북 청소년을 구분 짓는 프로그램이 기존의대상화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current issues of arts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designed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a and then navigates further steps to better serve the group. The purpose of study also pertains to the 2010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announced at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particularly, to the third Goal indicating how arts education practices can contribute to resolving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promoting social cohes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s (UNESCO, 2010). This research engages with critical theory approach and adop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 collected documents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terview participants found its need of current arts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become more value-driven and participant-centered. Currently, those programs available seem to incline to helping their adjustmen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arts-related activities, such as enhancing Korean language skills and learning Korean culture. Rather, it has been addressed that provi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and opportunities to search their own ‘voice(s)’ should be core objectives of the arts education programs. Moreover, when it is offered, arts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need to make sure that participants can feel safe and secure as being present at the space for programs in order to express and encounter their true inner voice(s).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과 현황

III. 연구 분석

IV. 결론과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