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333.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Factors in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Special School Teachers’ Rights

DOI : 10.22251/jlcci.2020.20.17.399
  • 693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을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method)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교사들이 교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년 이내에 특수학교 내에서 교권침해를 경험한 특수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특수학교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은 ‘물리적 환경-정서적 환경’ 차원과 ‘개인 외적 자원-개인 내적 자원’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교권침해에 둔감한 특수학교 풍토’, ‘개선되지 않는 보호자와의 정서적 유대감’, ‘트라우마로 인한 심리적 고통’, ‘부정적 자존감 형성’, ‘존중받지 못하는 특수교사의 교권’, ‘취약한 교권보호 시스템’ 등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극복요인은 ‘2차적 행동지원-1차적 행동지원’ 차원과 ‘정서적-행동적’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관계적 지지’, ‘긍정적 사고활동’, ‘즉각적 대안찾기’, ‘제도적 지원 활용’, ‘적극적 대처’, ‘전문성 신장’, ‘긍정적 유대관계 정립’ 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교권침해 극복요인이 지닌 구조 및 기저 차원을 실제적 경험에 근거하여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ppli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show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the violations of teachers right and to explore the ways used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ho have experienced such violations to overcome them. To this end, were conducted with 13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with experience i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ithin the past three years. The Difficulties due to infringement of teaching rights was recognized ‘physical environment-emotional environment’ dimension and the ‘individual’s external resources-individual’s internal resources’ dimension. six clusters were classified as ‘special schools climates insensitiv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motional bonds with guardians who haven’t improved’, ‘psychological pain caused by trauma’, ‘self-esteem negatively formed’, ‘special-education teachers’ rights that are not respected’, ‘vulnerable teachers’ rights protection system’. The overcoming factor was recognized ‘secondary action support-the primary action support’ dimension and the ‘emotional-behavior’ dimension. seven clusters were classified as ‘social relation support’, ’positive thinking activity’, ‘find an immediate alternative’, ‘utilize institutional support’, ‘active measure’, ‘growth of expertise’ and ‘establishment of positive bonding’.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baseline dimensions of special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of teachers’ rights violations and overcoming factors on the infringement were empirically verifi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