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GRDP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도시이면서 취업의 기회가 가장 많은 도시이지만 여성고용비율에 있어서는 최저를 기록하는 특이한 현상을 보이는 도시이기도 하다. 이러한 특이한 측면이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제활동참여에서 여성의 저조한 참여를 보여주고 있는 울산지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실태에서 드러나는 특징과 문제점은 무엇인지?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면서 경제활동참여에 초점을 맞춘 ‘여성’을 둘러싼 제반적인 현실과 쟁점에 대한 논의를 심도 있게 연구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여성은 가정에서의 역할이 남성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출산 및 보육휴직, 보육지원 등의 가족지원정책의 구체화도 필요하지만 가족지원정책의 강화만으로는 여성의 경제참여확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경력단절된 여성을 다시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용 창출 프로그램의 개발, 다양한 위치와 분야에서 여성이 소수이므로 인해 받는 불이익을 구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 고용주 여성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버리고 단지 조직 내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회전반적인 의식의 변화 등의 통합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s an industrial city, Ulsan provides various opportunities for economic activities. At the same time, Ulsan has a good reputation as a city of highest GRDP throughout the nation. Despite the encouraging position of Ulsan, female employment rate of companies based in Ulsan area significantly falls behind the national average rate. Whereas the city provides the most opportunity for employment, the city holds the lowest female employment rate; authors consider the peculiar situation above worth research and accordingly, has chosen Ulsan as a research object. One specific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herent in the current situation of women s economic activities in Ulsan area where women 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s low. In this research, while looking for improvement measure to the above situation, various facts and issues related to women living in Ulsan area with respect to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re discussed in more detail.
I. 서 론
II.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관한 이론적 논의
III. 울산지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실태분석과 문제점
IV. 울산지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 방안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