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화와 지방의 자율성 신장이라는 지방자치제도의 확대 연장선상에서 현실적 대안으로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자는 논의가 정치권과 학술연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주장되고 있다. 이러한 ‘분권과 자율’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될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받을 현직 경찰공무원들의 경찰제도 변화에 대한 인식을 수렴하여 새로운 제도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치경찰제도 도입을 전제로 하여 자치경찰제도의 이론연구와 함께 현직 경찰공무원의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인식분석을 통해 자치경찰제 도입에 있어서 경찰 현실적 요인과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요인으로 크게 양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에 대한 변수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Especially during the 16th President Election period, President ‘Roh Moo-hyun’ candidate mentioned the Korean self-governing system for his promise towards the people and won the race. The introduction of local police system is an urgent problem and the main current as a systematic method for police officers abiding by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in public peace, their being respected by the people and their becoming incorruptible, friendly and reliable towards the people. Therefore, it is considered important how the police officers think of its introduction so that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internal aspects rather than external circumstances surrounding police.
Ⅰ. 서 론
Ⅱ. 자치경찰제도의 이론적 논의
Ⅲ. 조사설계 및 분석결과
Ⅳ. 바람직한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