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조직학습화 방안

조직학습의 원형을 통한 위기관리 조직학습화 전략

  • 3

오늘날 우리 사회는 온갖 위험으로 가득 차 있다. 그리고 재난이 발생하면 새로운 조직·기구를 신설하고 법령을 제정하여 위기관리체계를 새롭게 구축하지만, 유사한 형태의 재난은 계속 발생되고 있으며 위기관리 또한 실패해 오고 있다. 따라서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사고와 같은 재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난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여 반성하고, 그 원인별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발생해 오고 있는 동일한 유형의 위험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경험적 지식을 축적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위기관리 과정에서 또 다시 동일한 문제점과 한계를 노정하고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대구지하철화재사고의 발단에 비해 피해의 규모가 큰 원인을 조직의 학습부재에서 찾고 있으며, 조직의 학습능력 제고 방안에서 또한 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 Senge의 다섯 가지 조직학습 원형들은 위기관리 조직학습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분석 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기관리 조직학습화 전략을 제시함에 있어, 조직학습 원형을 이용하여 위기관리 조직학습화 방안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hings presenting the strategy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rough the case of a failure for organizational learning of crisis management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Crisis filled our society, today. If disaster occur, we open new organization and make a law for new crisis management system. But similar disaster repeatedly occurs and disaster management have failed. For prevention the recurrence of disaster as the Daegu City Subway Fire, it is important that we figure for the basic preparedness to the case, grasping the situation and reflect on ourselves.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treatise focused on Daegu City Subway Fire using organizational learning archetypes. This study search for clues from lack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uggests activating organizational learning in crisis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직학습의 원형과 위기관리

Ⅳ.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조직학습 사례: 대구지하철화재를 중심으로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