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34.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자치단체 관광산업 촉진을 위한 광고의 내용과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al Content and Creative Strategy of Advertisement for Tourism Industry Promotion in Local Government

  • 14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개발 중요한 수단으로서 관광을 새롭게 인식하고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다. 지방 관광산업은 지역특성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관광상품이라는 무형의 서비스는 지역적 특성을 핵심적 가치로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을 알리는 가장 가시적인 도구 중에 하나이며 관광을 촉진하기 위한 관광광고의 정보내용과 표현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관광산업을 촉진하기 위한 광고내용과 표현의 전략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를 종합하면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관광광고는 대체적으로 감성적 표현과 사실정보 중심의 광고로 이원화된 경향을 보였다. 지역적 특성을 연계한 명칭형 헤드라인과 주장제안형 메시지의 전달을 통해 주로 이벤트·테마형 정보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지자체들의 관광상품이나 서비스가 특화된 전문화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광촉진을 위한 광고전략에서는 아직 단순 정보제공과 사실적 내용에 중점을 두며 관광축제의 참여를 알리는 고지 형 메시지수준에 머물러 집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별 특화가 관광산업 촉진에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지자체의 관광광고 유형이 상당히 획일적임이 파악되었다. 지역적 특성을 관광상품과 연계하여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령, 심리, 라이프스타일, 소득수준 등 목표고객의 전략적 세분화에 맞는 관광객 촉진 광고로서 내용과 표현기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As the local tourism industry is subject to local characteristics, the core value of tourism s intangible service itself implies local properties. We make an effort to shed a new perspective on the tourism as a regional development tool and communicate tourism as a viable industry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local econom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al contents and creative strategies of local government s tourism advertising, and thereby suggest strategic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 tourism advertising copy strategy. As results, current tourism advertising message is affective in tone and delivers factual information while its headline is coupled with local identity. Ad claims address primarily on events or themes of tourism products. Although local governments have made a lot of effort to develop specialized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promotional advertising strategy still remains at simply delivering tourism event and festivity information and soliciting participation.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is more of the same across all local governments despite differentiation is important in drawing tourists attention. It is suggested that relevant staffs in promotion department of local government take consideration into target tourists psychology and lifestyle in developing effective and competitive advertising strateg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