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개발공사의 행정대집행 권한과 실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Execution by Proxy Power and Actual Profit of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Focu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Business Performer
- 이용수 19

초록
본 연구는 지방개발공사의 성장과 더불어 직접적인 행정대집행 권한을 가질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의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개발공사가 행정대집행을 권한을 가져야 되는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행정객체인 국민의 입장에서 지방개발공사가 가지게 될 행정대집행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셋째, 지방개발공사가 행정주체로서의 직접적인 행정대집행 권한을 가지게 될 경우 과연 그 실익은 무엇은가? 그리고 현재 법제도적 문제점은 없는가? 넷째, 지방개발공사 행정대집행 권한 시행시 주민과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결과 지방개발공사를 포함한 지방공사가 국가 공기업에 비하여 행정주체로서의 권능을 가지는 것이 현 실정법상 많은 제약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방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책임을 강조하는 행정 거버넌스 흐름의 관점에서 볼 때 지방공기업의 행정권능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방개발공사의 행정 거버넌스 주체로서의 권능을 법리적으로 살펴 본 결과 기관의 인력 및 예산 관리 등은 충분히 거버넌스 주체로서의 체제를 갖추고 있으나 다만 공공기관 운영에 필요한 권한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행정대집행을 비롯한 국가 공기업이 가지고 있는 권한을 추가적으로 보완한다면 충분히 행정 거번넌스 주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축면에서 행정대집행 권한 도입의 실익을 떠나 이를 지방개발공사가 행사하고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necessity of the proxy power of the growing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in Kore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reasons and backgrounds that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must have the public execution by proxy power? Second, what ar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public proxy execution of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Third, what are the actual profits in case that the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has the public proxy power as a public administration body? Fourth, what are the measures that could minimize the conflicts caused by the proxy power enforcement between inhabitants and the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has sufficient legal power including the proxy enforcement as public administrative entity compared with the state public enterprise. The study stresses the need of the public proxy power of the local development corporation which discharges it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행정 거버넌스 주체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지방개발공사의 행정 거버넌스 주체로서의 지위
Ⅳ. 행정대집행 권한 도입과 실익에 대한 쟁점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공공조직에서 멘토역할행동의 선행요인
- 지방개발공사의 행정대집행 권한과 실익에 관한 연구
-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분석
- 지방행정개혁과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 업무용 신용카드 포인트 적립제도 활용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세외수입 확충방안
- 지방의회 의정활동 활성화를 위한 의회사무기구의 개선 방안
- 지방정부 재난관리 기관의 반응분석
- 지방자치단체의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제언
-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화력발전에 대한 지역개발세 과세방안 연구
- 지방자치제와 종합부동산세에 관한 연구
- 포스터모더니즘(Postmodernism)과 지방화·다원화된 사회의 도시계획이론
추천 논문
-
강권오 분쟁해결연구센터 분쟁해결연구 19(2) 2021.08
-
전광섭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ol.45 No.1 2015.01
-
장덕희, 신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연구 20(1) 2006.03
-
신열, 장덕희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지방재정논집 15(3) 2010.12
-
주윤창, 최수영, 정창훈 (사)한국정부회계학회 정부회계연구 15(2) 2017.12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