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기 지방선거가 5월 31일 열렸다. 이번 지방선거기간 중 주로 정당공천제에 의해 야기된 문제점들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의 문제보다 더욱 심각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수준에서의 정당공천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견해를 비교분석하고, 지방선거에서 정단공천제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정당공천제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으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한국정당체제의 본질적인 문제로서 1945년 이후 설립된 모든 정당들이 조직적 정당 또는 정책정당이 아니었다. 둘째, 지역주의가 1987년 이후 선거행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셋째, 특히 영남과 호남지역의 헤게모니 정당공천은 다른 선거의 형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효과를 내고 있다.
Ⅰ. 서론
Ⅱ. 정당공천에 관한 찬반 논의
Ⅲ. 지방선거에 있어 정당참여에 관한 외국의 사례
Ⅳ. 정당공천제에 대한 논의 - 결론에 대신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