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397.jpg
KCI등재 학술저널

儒家 道統論의 書畵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New Confucian Studies ‘theory of the Genealogy’

  • 85

본고는 유가의 朱熹의 『中庸章句』「序」에 나타난 道統論이 韓中書畵史의 서화창작론과 관련하여 어떤 사유와 경향을 드러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중국철학사의 큰 흐름을 볼 때, 宋代에 접어들면 앞선 시대와 달리 儒家 聖人들의 系譜를 중심으로 한 道統論 및 闢異端論이 강력하게 대두된다. 도통론의 핵심은 유가를 正統, 正學, 正道라 규정하고 老佛을 異端, 異學, 邪道라고 보는 사유로서, 그 정점에 朱熹가 있다. 이같은 주희의 도통론에 입각한 벽이단론은 『中庸章句』「序」에 잘 나타나고 있다. 그 핵심은 ‘允執厥中’이 상징하는 마음 표현의 適正性과 관련된 윤리적 인간 완성 및 바람직한 정치 행위를 모색하는 것인데, 이런 사유는 철학, 윤리, 정치 분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 방면에도 강력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흔히 ‘마음을 표현한다’고 여겨지는 동양의 書畵에 초점을 맞추면 그 구체적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유가 도통론이 서화에 적용되었을 때에는 이른바 中和미학을 강조하는 사유로 나타나고, 그 中和미학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배척된 것은 狂狷미학에 의한 작품 경향이었다. 南宋 이후는 이같은 철학의 도통관이 서화 분야에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서예의 경우에는 ‘書統觀’, 회화의 경우에는 회화의 ‘正脈’과 ‘正傳’와 관련된 이른바 ‘正派’ 강조라는 사유로 나타난다. 이같은 서예의 서통관과 회화의 정맥에 담긴 사유에 대한 이해는 중국서화사에서 서화가 어떤 경향을 띠면서 전개되었는지 하는 큰 흐름을 이해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oughts and trends of the ‘theory of the genealogy’ in Zhuxi’s 『The doctrine of the mean chapter sentence』「introduction」 in relation to ‘calligraphy and painting creation’ in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history. will be. In view of the big flow of Chinese philosophy, when entering the Song Dynasty, unlike in the previous era, ‘Theory of the genealogy’ and ‘a theory that rejects heresy’, centered on the genealogy of Confucian school philosophers, emerge strongly. The core of the ‘theory of the genealogy’ is to define Confucianism as the right and to reject Taoist and Buddhist ideologies as heresy, with Zhuxi at its peak. Its core reason is to seek ethical human perfection and desirable political action related to what is called ‘sincerely hold fast the mean’. These thoughts are not limited to philosophy, ethics, and politics, but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arts. Specific examples can be confirmed by focusing on Eastern calligraphy and painting, which are often considered to be ‘expressing the heart’. When the idea of ‘theory of the genealogy’ of Neo-Confucianism was applied to calligraphy and painting, It appeared as a reason to emphasize ‘the states of equilibrium and harmony aesthetics’. After the Southern Song Period, the ‘theory of the genealogy’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was applied to the field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case of calligraphy, it appeared as ‘the traditional view of the calligraphy line’. In the case of painting, it appeared as a reason to emphasize the so-called ‘orthodox flow’ related to the ‘orthodox context’ and the ‘correct tradition’ of the painting.

Ⅰ. 들어가는 말

Ⅱ. 儒家 道統論에 입각한 서예의 書統論

Ⅲ. 儒家 道統論에 입각한 회화의 正派論

Ⅳ.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