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의 라이프스타일별 주거특성
A Study on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Z Generation Lifestyle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住居環境 제18권 제3호 (통권 제49호)
-
2020.09331 - 348 (18 pages)
-
DOI : 10.22313/reik.2020.18.3.331
- 510

본 연구는 미래 주택의 실제 소비자가 될 Z 세대의 주거 선호도와 그 속성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특히 Z 세대의 특성을 감안하여 라이프스타일 별로 영향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측정 변수는 안전 환경, 편의 환경, 쾌적 환경, 경제 환경, 입지 환경의 5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들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군집 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안전환경과 입지환경 만이 전집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독립 변수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안전 환경이었으며 군집별로 차이가 있었다. 군집1(편리/실속/사교추구 집단)은 경제환경, 군집2(안정/실속추구 집단)은 입지환경, 군집3(편리/실속추구 집단)은 경제환경, 군집4(실속위주추구 집단)은 입지환경이 다음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이 수도권에 국한되어 있어 전국의 다양한 표본 확보에 한계가 있지만 미래시장을 본다는 점에서 향후 주택 정책 등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idential preferences and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Z generation, which will become the actual consumer of the housing in the near futur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the impact of each lifestyle is to be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measurement variables are selected as five factors, including safety environment, convenience environment, comfortable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and location environmen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cluster on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nly safety environment and location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safety environmen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y cluster. Group 1 (convenience/ deprivation/social pursuing group) was to have an effect in the order of economic environment, Group 2 (stability/deprivation pursuing group) in the order of pleasant environment, Group 3 (convenience/deprivation pursuing group) in the order of convenience environment, and Group 4 (substantial-oriented group) in the order of lo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findings to the nationwide.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o the future housing policies.
Ⅰ. 서 론
Ⅱ. 이론적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