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정보의 정확도 분석
A Study on Accuracy Analysis of the Underground Facility Data for 3D Cadastre
- 배종욱(Bae, Jong Wook) 배상근(Bae, Sang Keun) 홍성언(Hong, Sung Eon)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6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8
- 213 - 223 (11 pages)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한 지하시설물 정보의 정확도를 비교하고자 전자유도탐사법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존 데이터 및 직접측량 데이터와 위치정확도를 비교분석한 후 정확도 향상을 위한 법·제도적, 기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지하시설물 중 가스관로를 대상으로 위치데이터를 취득하였다. 탐사를 통해 취득된 위치데이터를 기존 데이터 및 도로굴착 시 직접 측량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하시설물 통합체계에 구축되어있는 데이터와 수평위치정확도는 최소 0.029m에서 최대 0.577m, 평균적으로 약 0.360m의 차이를 보였다. 직접측량 데이터와는 최소 0.011m에서 최대 0.121m, 평균적으로 약 0.087m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해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한 기 구축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 방안을 법·제도적, 기술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n addition, the obtained positional information was analyzed by comparing positional accuracy with existing data and direct surveying data. For the experiment, a study area was selected and positional data were obtained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for gas pipelines among underground facilities. The positional data acquired through induction was analyzed for accuracy by comparing existing data with direct surveyed data when excavating road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data constructed in the underground facilities integration system and the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showed a difference of at least 0.029m to a maximum of 0.577m, and on average about 0.360m. The direct surveying data were found to have a difference of at least 0.011m to a maximum of 0.121m, and on average about 0.087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existing data for 3D cadastre construction was proposed from the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1. 서 론
2. 3차원 지적 및 지하시설물 정보의 탐사기법
3. 실험 및 분석
4.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