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등 교육에서 공간정보 역할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Spatial Information in Secondary Education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Geopolitical Perception)
- 김훈정(Kim, Hoon Jung) 김윤아(Kim, Yun A)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6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8
- 139 - 148 (10 pages)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공간정보에 기초한 지정학은 국제적 현안을 이해하는 방식이며, 현재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거의 모든 이슈에 대한 원인을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에 기반을 둔 지정학에 대한 중등 교육 수준에서의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초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수행 중인 공간정보 교육 체계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간정보와 지정학의 필요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32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정보와 지정학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공간정보 교육에 기초한 지정학 교육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고등학생의 공간정보와 지정학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이며 융합적인 교육을 통하여 우리가 현재 사는 사회와 세계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한 폭넓은 지정학적 시야 확보의 접근 방안에 대한 기틀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geopolitic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s a way to understand pending international issues that now occur around the world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their cau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and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based geopolitics in secondary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information education system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derived several main implications.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conclusions about the need for spatial information and geopolitics, the survey and analysis are conducted on 320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need for spatial information and geopolitical education and its current status. The data gathered from this research presents the need for spatial information-based geopolitical education and an effective approach to i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reflecting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geopolitics. Its results are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framework that adopts broad geopolitical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hrough creative and convergent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our society and world.
1. 서 론
2. 공간정보 교육 및 지정학 인식의 필요성
3. 미국의 공간정보와 지정학 교육
4. 공간정보 및 지정학의 이해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