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래 목적에 따른 고가주택 시장의 세분화 연구
A Study on the Segmentation of the High-Priced Home Market by Transaction Purpose
- 문지영(Moon, Ji Young) 유선종(Yoo, Seon Jong)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6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8
- 125 - 138 (14 pages)
본 연구에서는 고가주택 중에서도 거래 목적에 따라 시장이 세분화되어 있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고가의 노후·불량 주택’과 ‘고급주택 시장’을 구분하였다. 고가주택 시장을 거래 목적에 따라 구분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가의 노후·불량 주택은 재건축으로 인한 기대이익이 반영된 투자재로서 자본이득을 목적으로 거래되므로, 자산가들 간 거주효용을 목적으로 차별화된 가격으로 거래되는 고급주택과는 다르다. 본 연구는 노후·불량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과 군집별 시장 비교를 통해 고가주택과 고급주택 시장이 일치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였다. 거래 목적에 따라 시장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시장별로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다르게 작용하는 점을 분석함으로써 고가주택 시장 내에서도 거래 목적에 따라 주택 시장이 세분화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석 과정과 결과를 통해 고급주택을 ‘고가로 거래되는 주택 중 노후·불량주택이 아닌 주택’이라 재정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종 정책의 수립 시 세분화된 주택 시장 별로 영향을 구분하여 조세 등의 정책 효과를 예측하고 고가·고급주택 시장을 이해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mong the expensive houses traded, the market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ansaction, distinguishing between high-priced old and poor houses and high-end housing markets. Among the expensive houses, the market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ansac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high-priced houses do not become high-end house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comparison of markets by group based on aging and poor quality.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distinguish and predict the impact of each segmented housing market in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policies such as finance and taxation, an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high-end housing market in advance.
1. 서 론
2. 거래 목적에 따른 시장 분리
3. 분석모형
4. 거래 목적별 시장 세분화 확인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