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매핑시스템을 이용한 지적경계 추출 정확도 평가
A Study on the Accuracy Evaluation of Extraction Cadastral Boundary Using the Mobile Mapping System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6권 제2호
-
2020.0855 - 68 (14 pages)
- 231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지적재조사 측량방법의 다원화 차원에서 지적경계점의 위치좌표를 취득할 때 모바일매핑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MMS를 통한 원시자료 취득과정과 지적경계 추출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취득된 MMS 최종 성과물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MMS 데이터를 활용한 지적경계 추출 위치정보의 정확도 평가를 위하여 연구대상지의 지적재조사측량 성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MMS 데이터와 드론 영상을 중첩함으로써 지적경계 추출에 대한 위치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MMS 장비를 활용한 도로의 지적경계 추출방안은 실험데이터의 성과검증을 통해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지적재조사에 직접적으로 접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적용방안에 대해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using mobile mapping system to acquire the coordinates of cadastral boundary points in order to diversify cadastral surveying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adastral resurvey. For this end, first, we examined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raw data through MMS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cadastrall boundary and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acquired MMS final results. Seco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cadastral renovation survey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adastral boundary extraction location information using MMS data. Thir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location accuracy of cadastral boundary extraction could be improved by overlapping MMS data and drone imag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adastral boundary extraction method using MMS equipmen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data, and it needs to analyze the various cases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as suggeste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cadastral resurvey in the future.
1. 서 론
2. MMS LiDAR 자료취득
3. 지적경계 추출 정확도 분석
4.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