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식의 구조 관점으로 본 실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ccording to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 263
153414.jpg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비하여 실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 미래 교육과정에서 실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식의 구조’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실과가 쌓아 왔던 교육내용들에서의 계열성 부족 문제,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실과의 ‘지식의 구조’를 잘 나타내지 못한 문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과정 변화에서는 첫째, 나선형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실과의 ‘지식의 구조’를 담을 필요성이 있다. 둘째, 미래사회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교육 내용들에 ‘가치’를 담을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changes into a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and to consider how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should chang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Analyzing result focused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sequencing in the educational contents has accumulated shows a part of collap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the Practical Arts was not well re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ecautions. Based on this, Practical Arts Curriculum needs to be change in two aspects. First, in the futur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in order to supplem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econd, in order to ‘Lead a life’ in the future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clude ‘value’ in educational contents.

Ⅰ. 서 론

Ⅱ. 실과에서의 지식의 구조와 역량

Ⅲ. 지식의 구조 관점에서의 실과 교육과정

Ⅳ. 실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