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의 이용의도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Use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 228
153420.jpg

본 연구는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는데, 주요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는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상대적 이점은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디지털매거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an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ive norms for the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he social image of the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the relative advantage of the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Four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Fif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Six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digital magazine’s curation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