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所謂 皇龍寺型 帶裝飾具의 再檢討

A reassessment of so-called Hwangyongsa-style metal belt

DOI : 10.47417/yar.2018.82.125
  • 212

교구와 방형 및 원형의 과판, 대단장식으로 구성된 황룡사형 대장식구는 경주 황룡사지 목탑 심초 하부에서 출토되어 그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지방 고분군에서 간헐적으로 출토되었는데 그 사례가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6세기 후반~7세기 초라는 한정된 기간에만 확인되고 있어서 등장과 전개, 소멸에 대해 살필 필요가 있다. 황룡사형 대장식구의 큰 특징은 과판과 문양이 함께 주출되고 帶를 착용하였을 때 교구의 교침을 원형과판에 끼워 결구한다. 이는 역심엽형 대장식구와는 이질적이며, 오히려 중국의 도용과 벽화의 인물에 표현된 대장식구의 착용법에 가깝다. 아울러 대장식구에 주출된 문양의 대부분은 北朝~隋代고분의 부조 및 벽화에 표현된 장식도안과 상통하기에 중국의 영향을 받아 신라에 도입된 대장식구로 볼 수 있다. 더하여 황룡사형 대장식구와 당식 대장식구는 기존의 견해에서처럼 단절적이고 별개로 구분되는 대장식구가 아니라 문양이 주출된 것에서 무문양으로, 교구 제작 방법의 변화라는 형식적 변이를 거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황룡사형 대장식구는 당식 대장식구의 한 범주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당식 대장식구의 변천과정과 궤를 함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는 6세기 중엽의 어느 시점부터 중국 왕조와 조공책봉 관계를 통해 정치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중국의 문물을 신라 내부의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지방통치에 활용하였다. 신라는 새롭게 영역에 편입된 지역 세력들에게 외위를 지급하여 지방을 통치하다가 통일 이후 외위를 소지한 지방민들을 경위제로 대거 편입시킨다. 외위제가 신라 내에서 기능하던 6세기 중엽이후 7세기 초 사이의 시간은 황룡사형 대장식구가 지방에 등장하고 형식의 변화를 겪는 시기와 부합하여 신라의 지방통치에 한 도구로써 기능하였다.

Discoveries of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usually brackets and belts as well as round and edge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built in the center of this wooden pagoda in Gyeongju led the existence of this site to become known. Subsequent excavations have intermittently targeted local burial tombs but few cases have so far been found; it is nevertheless important to carefully consider the appearance, development, and extinction of these tombs as occurrences are only known from a limited time period between the late sixth century and early seventh century. One characteristic feature of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is that the ornament and the pattern are raised together; this means that when a belt is worn it buckled by inserting a bracket needle into a round ornament. This is different from the inverted leap-like shape of a metal belt and somewhat similar to the way that these items are depicted as being buckled in Chinese burial mound and mural figures. Most of the patterns seen on these metal belts are also shared with decorative designs seen on reliefs and murals from North dynasty and Sui dynasty ancient tombs; on this basis, these artifacts can be viewed as Chinese-influenced Silla metal belts. Hwangnyongsa-style and Tang-style metal belts have also not been differentiated from one another in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and it has been considered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ethod of ornament making innovatively changed from the use of patterns to none.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can therefore be included within the same category as their Tang-style counterparts, as part of the evolution of these items in China. It is known that the Silla dynasty formed political ties with the Chinese dynasty at some point during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via the tributary appointment system. This led to a transformation of cultures and products inside China to fit the situation within the Silla dynasty which was then utilized for regional control; the Silla dynasty ruled rural areas by providing Oewie to local forces newly incorporated into the area and by including numerous local owners into the Gyeongwie system subsequent to unification. The time between the mid-sixth century and the early seventh century when the Oewie system was functioning within the Silla dynasty therefore functioned as a tool for regional control and is consistent with the timing of the appearance of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in rural areas and changes in their form.

Ⅰ. 머리말

Ⅱ. 자료의 검토

Ⅲ. 황룡사형 대장식구의 등장과 변화

Ⅳ. 소위 황룡사형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