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영남지방 일제강점기 송탄유가마 연구

Pine Oil Kilns in Yeongnam Province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46

영남지방 송탄유가마 연구는 발굴유적이 소수여서, 대상 유구에 대한 세심한 분석 없이 문헌기록에 의지한 역사적 의미 파악에 치우쳤다. 그렇기 때문에 송탄유가마의 소성실을 두 번에 걸쳐 다른 재료로 재축한 것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근간으로 현재까지 영남지방에서 발굴된 송탄유가마 유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분석 결과 송탄유가마는 처음에는 채취된 송지를 원료로 사용해서 기름을 생산하는 가마와 모습이 유사했던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1938년경 처음 고안된 송탄유가마의 조업 모습이 담긴 2장의 사진을 새롭게 찾는 성과도 있었다. 이 밖에도 처음 송탄유가마를 축조 했을 때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일제가 여러 차례 송탄유가마를 개량하여 조업할 수 있을 정도로 완비할 수 있었던 배경에 식민지 조선의 전통 장인의 기술과 가마 운영에 이들이 동원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송탄유가마의 속성분석을 실시하여 규격화된 송탄유가마의 축조는 부족한 자원의 확보를 위한 일환으로, 식민정부의 치밀한 계획 하에 관주도로 조직적으로 실시되었던 것을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기사를 활용하여 재차 확인하였다. 또한, 일제는 송탄원유 생산의 주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처음에는 농가부업으로 장려하고, 송탄유가마를 인구 밀집 지역 인근의 산기슭에 축조하여 아동에 이르기까지 소나무 부산물 채취에 조직적으로 동원하였다. 그러나 종국에는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전매제도를 실시하여 식민지인을 기만하였다.

Since there are few relics excavated, research on pine oil kilns in Yeongnam Province has been mostly focused on figuring 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m relying on literatures with no precise analysis on the remains. Therefore, it has failed to give clear explanation about the fact that the firing room of pine oil kilns was rebuilt twice with different material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uthor conducted analysis on the relics of pine oil kilns that have been excavated so fa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t first, the pine oil kiln was similar to the one producing oil made of pine resin collected. Furthermore, this author found the pine oil kiln first devised around 1938 and also two photos showing how the pine oil kiln was working. Along with that, this author suggests the valid possibility of colony Chosun’s traditional masters mobilized to apply their technique and operate the kilns in the background of the pine oil kilns completely equipped to the extent of performing their functions properly after several times of improvements made although they had exhibited many problems before. Next, this author analyzed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pine oil kilns and learned that building pine oil kilns was l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systematically based on thorough planning as part of securing resources they needed. Also, to induce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it voluntarily, at first, they encouraged it as a side job for farm families; however, in the end, the colonial government enforced the monopoly system for pine oil to control it. Accordingly, pine oil kilns were built mostly in the foot of a mountain near the village where there were many people residing. In fact, all the colonized people including children got mobilized systematically to collect the byproducts of pines.

Ⅰ. 머리말

Ⅱ. 송탄유가마의 출토현황과 유형분류

Ⅲ. 송탄유가마의 성격과 변화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