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함안 말이산고분군 출토 유자이기의 변천과 의미

The transition and meaning of the ceremonial ornament with bird-shaped thorn(有刺利器) from Malisan ancient tombs in Haman region

  • 86

함안 말이산고분군은 안라국의 중심지이며, 가야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말이산고분군의 유자이기는 새 장식이 되었다는 점에서 강한 지역색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형장식에 주목하여 말이산고분군의 유자이기를 검토하였다. 조형장식 유자이기의 분석은 두 차원에서 진행하였다. 하나는 조형장식 유자이기의 속성을 검토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유자이기가 부장된 무덤의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통해 말이산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유자이기의 출현과 부장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조형장식에 초점을 두고 볼 때 말이산고분군의 유자이기는 시간에 따라 고식과 신식으로 나뉘며, 고식 5개 형식, 신식 3개 형식으로 세분된다. 각 형식은 부장유구의 규모와 동반유물을 통해 볼 때 중위 이상에서만 부장되는 위세품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출현기부터 소멸기까지 지속적으로 위세품의 지위가 유지된다. 다만, 피장자 인근에 부장되던 것이 늦은 시기로 가면 부곽이나 상부에 매납되는 변화를 보인다. 5기의 전개과정 속에서 조형장식 유자이기의 출현은 대성동 2호 출토 조형장식 판갑으로 미루어 4세기 김해지역과 관련하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새 모양을 장식하는 것은 이전시기부터 농경의례, 하늘·태양 숭배, 장송의례 등을 나타내는 중요한 관념이고 동시기에 위세품에서 다양한 형태로 보이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말이산고분군 조성집단은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 조형장식 유자이기를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안라국을 대표하는 말이산고분군 조성집단은 이러한 상징성과 위세품의 의미가 부여된 조형장식 유자이기를 제작하여 무덤에 매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Malisan ancient tombs in Haman region are the most important sites, as the center of Allakuk(安羅國), in the study of Gaya. In this study, the ceremonial ornament with bird-shaped thorn(有刺利器) excavated from the Malisan tombs were examined. In the analysis of the ceremonial ornament, It attracts attention to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the bird-shaped decoration. It is largely classified into the old and the new style. It is set to five types of old style and three types of new style. The old and new style differ in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The set pattern is observed to change gradually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late period. The duration is divided into five stages from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scal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and the main artifacts were examined, and the hierarchy was classified. The ceremonial ornament shows the hierarchical feature that is buried only in the middle grave and above. From the time of the emergence until the extinction period, the position as a superior relics was maintained. The position to be buried is changed. Artifacts what was buried near the body, it changes to the form to be placed on the vice chamber or top of the main in the late period. The ceremonial ornament excavated from the Malisan tombs is confirme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Gimhae region in the 4th century. The bird-shaped decoration on back of the armor excavated from the Daeseongdong No. 2 tomb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earliest period in the old style of the Malisan s ceremonial ornament.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image of the bird-shaped decoration were identified in various artifacts as an important notion of farming rituals, worship of the sky and sun, and ceremonial rituals. It can be seen that the building group of the Malisan tombs placed the ceremonial ornament that has a symbolic meaning on the grave with a high hierarchy continuously.

Ⅰ. 머리말

Ⅱ. 속성과 형식

Ⅲ. 유자이기 출토 무덤과 부장양상

Ⅳ. 편년과 전개양상

Ⅴ. 출현과 부장의미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