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진·변한지역 분묘 출토 노형토기의 등장과 전개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盧形土器) excavated from ancient tomb in the Jinhan and Byeonhan Region

  • 136

노형토기는 진·변한 후기와질토기 주요 기종의 하나이다. 후기와질토기 연구에 의하면 진·변한지역의 노형토기는 시간에 따라 기형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진·변한은 소국 단위의 작은 집단을 통칭하는 표현이며, 진·변한 후기는 각 집단 간 통합이 활발히 진행되었던 시기이므로, 단위 지역 간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다는 판단에서 이 글에서는 단위 지역 간의 양상을 살피는데 초점을 두고 분묘에서 확인된 노형토기를 지역별로 살펴보았다. 노형토기의 분석 결과 진·변한 전 지역에서 공유했던 속성과 단위 지역의 특징적인 속성이 추출되었다. 공유속성은 구연의 크기와 높이, 동체 최대경의 위치와 형태 그리고 전체 크기에서 대각이 차지하는 비율 등으로, 공유 속성은 정향성을 갖고 변화한다. 이를 진·변한 전 지역에서 노형토기에 대한 인식이 공유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정향적인 속성이 단위 지역별로 다른 것은 진·변한의 공통속성과 선택적 속성이 결합된 결과로 보고, 지역 간 비교를 통해서 속성의 선택적 결합 과정에서의 영향관계를 살폈다. 따라서 노형토기의 기형이나 생산에 대한 정보가 단위 유적 간에 공유되었다고 하여도, 노형토기가 동질의 생산기반에서 제작되지 않았다고 보았다. 결국 공통된 속성과 단위 지역적 속성을 함께 고려해 볼 때 노형토기의 형태는 진·변한지역의 공통속성과 단위 지역별 속성이 결합하여 결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지역마다 등장기의 다양한 형태를 가진 노형토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형성을 띠며 수량이 증가하는 과정을 거쳐 경주 권역에서는 편구화 되며, 부산·김해권역에서는 구연이 직립화 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경주와 부산·김해 지역의 차이를 보이면서 노형토기는 도질화 되고, 기대화 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The brazier-shaped pottery(盧形土器) was mainly excavated from the wooden chamber tomb as one of the major types of the latter soft grayish pottery(後期瓦質土器) in Jin Byeon Han(弁辰韓) area. According to the latter soft grayish pottery study, the shape of brazier-shaped pottery in the Byeon Jin Han area, had changed with time. But the‘ Byeon Jin Han’is a collective expression of a group of small units, the latter period of the Byeon Jin Han was during when the integration between the groups began to actively proceed. It is also meaningful to look at the aspects between unit sites rather than all Yeongnam province as an entire analysis unit. In this article, it’s focused o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atterns of brazier-shaped pottery between unit si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ottery, the common attributes shared across the Byeon Jin Han area an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the unit sites were derived. The common attributes are the size and height of the top part, the maximum circumferential position(胴最大部) and shape, the percentage of foot in total size of the pottery etc.. The common attribute had ch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it’s interpreted it as shared the recognition of brazier-shaped pottery in all the Byeon Jin Han area. Meanwhile, the detailed type differences by units, is interpreted it as the result of selecting specific attributes in the region. Therefore it seems the shape of brazier-shaped pottery in the Byeon Jin Han area that common and optional attributes are combined. It’s examined the process of selective combination of attribut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regions. Considering the common attributes of the brazier-shaped pottery and the a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unit site’s property, there were various types of the pottery from the beginning, it develop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quantity with the form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s the shape difference between unit ruins decreases in the same time, it became flat in the Gyeongju region, the top part of pottery were developed in the upright direction in the Busan·Gimhae region. It’s changed to be hardened, transformed pottery stand(器臺) with the difference between Gyeongju and Busan·Gimhae region.

Ⅰ. 머리말

Ⅱ. 속성과 형식설정

Ⅲ. 단위 유적별 속성 비교

Ⅳ. 등장과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