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高靈 池山洞古墳群 內 追加葬의 含意

A their implications to additional buried in Goryeong Jisandong tombs

  • 81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에 위치한 지산동고분군은 주산의 주능선과 그 일대에 수많은 봉토분과 수혈식석곽ㆍ석 실묘가 조성된 대가야 최대의 고분군이다. 이에서는 대가야 멸망 이후에도 고분이 조성되는데, 기존의 수혈식석곽을 복토하거나 증ㆍ개축한 후 추가장이 이루어진 사례도 확인되며 그 시기는 6세기 후반대로 한정된다. 이러한 사례는 고고학적 현상 자체만을 놓고 본다면 수혈식에서 횡혈(구)식 묘제로의 변화와 장제의 변화를 뚜렷하 게 보여주고 있으며, 추가장의 대상은 어떠한 형태로든 먼저 매장된 피장자와 관련된 재지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지산동고분군 전체로 볼 때 신라의 대가야 정복 이후 묘제와 토기의 양식적 선택압이 작용하는 것에 더하여 역심엽형 대장식구와 당식 대장식구를 매개로 한 신라의 고령지역 통치가 확실하게 관철되었음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The Jisandong Tumuli—located in Daegaya-eup, Goryeong-gun in Gyeongsangbuk-do Province—is the largest tumuli of Daegaya. At this site, many earthen burial mounds, stonelined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are located along the major ridge of the Jusan Mountains and the surrounding area. Tumuli were established in the area after the fall of Daegaya, with cases of additional burials occurring by covering existing stone-lined tombs with soil or by extending or expanding them. This period is limited to the late 6th century. When looking at the archeological phenomena itself, these cases clearly show the changes from stone-lined tombs to horizontally-buried tombs as well as changes in funeral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additional burials can also be linked to local authorities who were related in some way to the subject who had been buried beforehand. In terms of the Jisandong Tumuli as a whole, it is very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dramatically shows that in addition to the selective pressure regarding the styles of funeral institutions and earthenware after the conquer of Daegaya by the Shilla, the rule of the Goryeong region by the Shilla through the mediums of reverse leaf-type belt plaques and Tang-style metal belts is clearly achieved.

I. 머리말

II. 추가장 사례의 검토

III. 유형과 연대

IV. 지산동고분군 내에서의 역사적 의미

V.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