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450.jpg
KCI등재 학술저널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자료해제와 원문정리

  • 44

이것은 김해 月峯書院 소장 筆寫本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3권 1책을 해제하고, 원문을 입력한 것이다. 『화양속리금강송도해주평양유기』는 1932년 吳震泳(1868~1944)이 제자 崔愿(1896~1943)・李普林(1903~1972) 등과 華陽洞, 俗離山, 金剛山 등을 여행하면서 함께 지은 漢詩作品을 모아서 엮은 諸人 공동 紀行詩集이다. 현재 여행과정 중에 최원이 처음 기록했던 卷子本 중 『華陽俗離遊記』 1권 1책, 여행 후 최원이 3권 1책으로 재편집해서 엮은 것을 가지고 이보림이 그것에 서문과 발문을 붙여 다시 필사한 草稿本 3권 1책이 김해 월봉서원 소장으로 전하고 있고, 이보림이 초고본을 대본으로 書名을 ‘華陽俗離楓岳松都柳京遊記’로 바꾸어 출간한 石版本이 일부 전하고 있다. 『화양속리금강송도해주평양유기』는 “李珥→宋時烈→田愚→吳震泳”으로 이어지는 근대 艮齋學派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특히 그러한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희소하기 때문에 더욱 그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화양속리금강송도해주평양유기』는 근대문명의 산물인 철로 위에 얹혀 여행을 하면서 근대문명의 흔적을 완벽하게 지운 채, 전통지식인으로 한시라는 전통적 양식을 가지고 전통적 가치를 온전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 또 다른 의미이자 가치인 동시에 그 한계도 아울러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는 김해 월봉서원 소장 이보림 필사 초고본 『화양속리금강송도해주평양유기』를 그 자료의 성격과 의의가 잘 드러나도록 상세해제하고, 원문 전부를 한 칸 띄우기 형태로 표점해서 입력하였다. 원문은 대부분이 한시이기 때문에 각 시를 韻字 단위로 行을 나누어 그 형태와 의미를 쉽게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입력하였고, 작자와 부가설명 등이 기록된 細注는 대괄호로 묶어서 기록하여 원문과 구별되도록 하였다. 한편 이 제인 공동 기행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오진영・최원・이보림 등의 문집 『석농집』・『경암집』・『월헌집』 등에 각자의 紀行詩篇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일부의 자구 수정 외에 별다른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서 따로 교감은 하지 않았다. 대신 이보림이 남긴 紀行日記 「華陽俗離遊記」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끝에 첨부해 두었다.

This is input the original script which is kept at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in Gim-hae city, explaining transcription the volume three of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is a corporate travel diary, which was written by Choi Won(崔愿, 1896~1943), Lee Bo-rim(李普林, 1903~ 1972) and others who were disciples of Oh Jin-Young(吳震泳, 1868 ~1944) in 1932, and this was complied together with their each poem works during their travel at Hwayang-dong, Sokri Mountain, Geumgang Mountain.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was the first written publication in one volume during their trip, after the trip, Choi Won reedited in 3 volume and then Lee Bo-Lim transcribed it with epilogues, which is kept at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is is named as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being partly passed down as lithography.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is a good material to see Ganjae school’s trend proceeded by Lee lee → Song Si-yeol → Jeon Woo → Oh Jin-young. Specially, it is really uncommon to see this trend as written materials. That is why this work is highly worthy.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is the story when they are sitting on the railway which is modern civilization’s product during traveling with erasing trace of modern civilization perfectly. It can show the limitation and worth at the same time, presenting traditional values with traditional frames as traditional intellectuals. Below are a possession 『華陽俗離金剛松都海州平壤遊記』 of Wolbong- seowon Confucian Academy’s director to explain this material’s characters and significances. It also has forms written leaving the space between the words. Since this original script is mostly Chinese poem, it is written as a rhyming word with dividing lines to see the forms and meanings easily, and the writer and additional explanations in bracket to see distinguish it from the original. The literary works in collaborating collection poem is published in a collection of works in Seoknong collection, Kyungam collection, Wolhun collection by Oh Jin-young, Choi Won, Lee Bo-lim works respectively. Since there is no differences exception amending phraseology, any other corrections are not required. Instead, travel diary 『華陽俗離遊記』 by Lee Bo-lim is added at the last part of it for the convenience of reader’s better understanding.

1. 자료해제

2. 원문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