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년여성의 가족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여가활동경험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 588
153454.jpg

본 연구는 일상적인 가족생활을 통해 경험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중년여성의 삶의 질 간에는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서 여가활동경험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축적하여 2020년 3월 31일에 공개한 여성가족패널조사 2018 데이터 가운데 3,726명의 조사대상자를 중심으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부부간 스트레스와 부모­자녀간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경험은 부부간 스트레스와 삶의 질, 부모­자녀간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가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여가의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 3,726 Korean Longitudinal Surveys of Women & Families (KLoWF) accumula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marital stress and parent­child stress have negative effect on middle­aged woman’s quality of life. Second,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tress and middle­aged woman’s quality of life. Third,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stress and middle­aged woman’s quality of lif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affirm the value of leisure and to have a ne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eisure in order to improve middle­aged woman’s quality of lif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