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성희롱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 Korea Citation Index)에서 2003년에서 2019년까지의 ‘성희롱’을 검색어로 한 학술논문 중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의 연구물 302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학술논문에서 1,978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정제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999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키워드를 출현빈도에 근거하여 ‘성희롱’ 연구의 핵심 키워드를 확인하였고, 6회 이상 사용된 45개 키워드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지표인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하여 성희롱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희롱 연구는 성희롱, 성폭력, 직장, 성차별, 인식, 예방교육, 폭력, 차별, 양성평등 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둘째, 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성희롱, 성폭력, 성차별, 직장, 예방교육, 차별, 여성, 피해자는 연결・근접・매개중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근로자, 책임, 통념은 연결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키워드와 가깝게 위치하여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이 높았고, 법, 대학생, 대처방식, 청소년, 불법행위, 남녀고용평등법 등의 키워드는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넷째, 성희롱 연구에서 등장하는 인물과 관련된 총 65개의 키워드들을 키워드 클라우드로 도식화한 결과, 피해자, 고용주, 여성, 근로자, 대학생, 운동선수, 요양보호사, 의사, 비정규직, 교수, 간호사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희롱 연구는 그룹별로 직장내 성희롱, 법률관계, 피해자, 예방교육, 성인지감수성, 대학 실태 등으로 구분되었다. 2018년 이후에는 미투운동 키워드가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성희롱 연구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는 집단을 형성하며 매우 밀접하게 분포되어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sexual harassment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keywords in articles from 2003 to 2019 containing ‘sexual harassment’ retriev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database, which provides a range of academic information on domestic journals and articles. Finally, 302 related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KCI list of academic articles, and 999 keywords were extracted by refining the keyword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refinement process, and 45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above 6 times.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to matrix data and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use of keywords for analyzing the main concep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xual harassment, sexual harassment, sexual violence, workplace, sexism, awareness, preventive education, violence, discrimination and gender equality we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rticles. Second, sexual violence, sex discrimination, workplace, preventive education, discrimination, women and victims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spectively, except for sexual harassment. Third, the keyword network was visualiz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dex, this study diagnoses the past and present of sexual harassment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verall,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because they provide a conceptual reference point that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exual harassment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exual harassment.
I.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