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481.jpg
KCI등재 학술저널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안녕: 성별에 따라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Gender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and Subjective Well-being

  • 149

이 연구는 여성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상정하고 성별,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주관적 안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통제하였을 때 여성이 남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주관적 안녕을 가졌다. 이는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성별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에 억제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소벨(sobel)검증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성별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간접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수준의 두려움을 갖고, 이것이 주관적 안녕을 낮추었다. 그러나 주관적 안녕에 대한 성별과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성별,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를 차별적 노출론(differential exposure)의 관점에서 설명할 필요가 있음을 뜻한다. 추가적으로 성별에 따라 두려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해본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높은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점과 성별과 연령 간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다소 감소하나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두려움이 상승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연령층이 되어도 여성의 두려움이 남성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여성과 남성 간의 주관적 안녕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이라는 사실과 여성은 연령이 증가하더라도 높은 수준의 두려움을 지속적으로 갖고 있음을 함의한다. 범죄에 대한 성별화된 두려움이 제거된다면 여성의 주관적 안녕은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ociations among gender, fear of crime and subjective well-being using an integrative approach.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Multiple regression models and sobel tes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gender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it became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fear of crime, which means that there was a suppression effect. In the model including fear of crime as a covariate, women ha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men. A sobel test proved that fear of crime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between gender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fear of crime showed that women had a higher level of fear of crime than m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age. In the findings, women’s fear of crime slightly decreased as age increased while men’s fear of crime increased as age increased. Nevertheless, women’s fear of crime was higher than men across all ages. The findings suggest that fear of crime is an important factor shap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women. Lowering women’s fear of crime by decreasing sexual crime against women should be needed for better quality of life for women.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