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481.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묘한 성차별(Gender Microaggression)에 대한 개념도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ender microaggression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using concept mapping

  • 585

본 연구는 한국의 20대 여성들의 미묘한 성차별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질적양적 혼합연구법인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대 여성들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미묘한 성차별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25명으로, 초점 집단을 통해 아이디어를 산출한 후 이를 축약하여 총 76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어 참여자 중 15명이 유사성 분류작업에 참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차원(여성에게 부과하는 개인적 기대 대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대 성차별)과 6개 군집(외모에 대한 차별,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 여성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 직장에서의 성차별, 여성경시, 딸 역할에 대한 기대)이 도출되었다. 각 진술문들이 얼마나 성차별적인지 평정한 결과, 20대 여성들은 직장에서의 성차별,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 여성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 순으로 성차별이 심하다고 지각하였으며, 여성 경시, 외모에 대한 차별, 딸 역할에 대한 기대는 동일하게 성차별적인 것으로 평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South Korean women in their 20s perceive and experience gender microaggression and to clar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gendermicro aggression for them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cept mapping method. First, in order to derive statements about gender microaggression, a focus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s were conducted of 25 women in 20s in Seoul and Gyeonggi-do. After collecting ideas about gender microaggression, 76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focus groups.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ve evaluation were performed on 15 participants. Finall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rd method) were used to confirm the conceptual structure of gender microaggression. First, participants were perceived two-dimensions on the map of gender microaggression: ‘Individual expectations imposed on women’ vs. ‘Social prejudices or bias against women’ and ‘Stereotypes about women’ vs. ’Gender discrimination’. Second, Statements are divided into six clusters. The order of assessment for the degree of how much gender discriminative according to the clusters was as follows: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Traditional gender role stereopypes’, ‘Social stereotypes of women’, ‘Disregard of women’, ‘Appearance discrimination’, ‘Daughter role expect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gender micro aggression perceived by Korean women in 20s. It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manifestation of gender micro aggressions unique to young women in South Korea.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