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우수상]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의 생활시간 활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여가특성의 차이 분석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married working women with children and testing differences in leisure attributes

  • 216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별 여가특성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 7차년도(2018년)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총 1,075명이었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자녀 기혼 취업여성들의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3개로 나타났으며, 세 집단을 저수준 돌봄 집단, 중수준 돌봄 집단, 고수준 돌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미취학자녀 유무, 가구소득, 성역할 인식, 가사도움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저수준 돌봄 집단에 비해 중수준 돌봄 집단이나 고수준 돌봄 집단에 속할 승산은 미취학자녀가 있는 경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성역할 인식이 불평등할수록, 부부 외에 가사를 도와주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 증가하였다. 근로특성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시간 활용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별 여가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수준 돌봄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의 여가시간 충분정도와 여가만족도를 보고하였고, 고수준 돌봄 집단이 가장 낮은 수준의 여가시간 충분정도와 여가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여가가 양적, 질적으로 가장 열악한 집단인 유자녀 기혼 취업여성에 주목하여 일상생활 시간사용과 이에 대한 결정요인 및 여가특성과의 관련성을 동시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여성의 평균적인 생활시간 분석에서 나아가 시간 사용의 개인차를 분석에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daily time usage of married working women with children and tested the effects of factors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profiles.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eisure attributes were also analyz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with a sample of 1,075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three latent profiles amongst married working women with children, distinguished by their daily time use patterns; a low-level care group, a medium-level care group, and a high-level care group.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se profiles were the presence of preschoolers, household income, gender role recognition, and household help. Labor-related factors have been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Lastly, the low-level care group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the sufficiency of leisure time and leisure satisfaction, while the high-level care group presented the lowest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and leisur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the leisur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