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미혼여성의 일 만족도와 가족관련 가치관, 건강과 여가생활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752

본 연구는 미혼직장인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 만족도, 가족관련가치관, 건강과 여가생활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여성가족패널(KLoWF) 제 7 차년도 조사자료에서 직장을 가진 미혼여성 819명을 연구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종속변수는 ‘결혼의향’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일 만족도’, ‘가족관련가치관’,‘ 건강과 여가생활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주요 변수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 만족도, 가족관련가치관, 건강과 여가생활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직장인여성의 연령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직장인여성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 만족도는 미혼직장인여성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건강과 여가생활만족도에서 우울은 미혼직장인여성의 결혼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는 미혼직장인여성의 결혼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관련가치관 3(미혼출산육아동거등)은 결혼의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가족관련가치관 3(미혼출산육아동거등)을 높게 인식하는 미혼직장인여성이, 낮게 인식하는 조사대상자에 비해 결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