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친족연결망의 구조적·관계적 특성이 부부결속에 미치는 영향

The Structure of and the Relationship with Kinship Network on Conjugal Solidarity

  • 27

본 연구는 2018년과 2016년 여성가족패널조사에 응답한 만 35-64세 유배우 여성 자료를 3 연령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령층에 따라 친정부모, 친정형제자매, 시부모, 시형제자매로 구분된 각 연결망의 구조적·관계적 특성이 부부결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변량분석과 카이검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친족연결망이 지닌 가부장적 가치관이 희석되고 성평등적 가치관이 확산되는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inship network affect conjugal solidarity,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the kinship network is changing in Korean families. The 7th and 6th panel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collected in 2018 and 2016, were used for the analysis. Among the respondents, married women aged between 35 and 64 in 2018 were selected and sorted into 3 age groups. ANOVA,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the proximity with parents, siblings, in-law parents and in-law siblings on conjugal solidarity vary with age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ormative pressure of patriarchy operated via kinship network is diminishing, being substituted by the new value of gender equality.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자료 및 분석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