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 유형과 노인 낙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 강시온(Sion Kang)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0권 5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0
- 981 - 1001 (21 pag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의 수준을 중심으로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노인 낙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 유형에 따라 노인 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 검토와 더불어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 청소년의 사회인식 및 사회참여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세대통합 역량수준에 따라 3개의 잠재집단 유형을 확인하였고 도출된 유형을 높은 수준의 ‘통합역량형’, 보통 수준의 ‘적정수준형’, 낮은 수준의 ‘갈등심화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세 유형 간의 비율이 ‘통합역량형’은 18.7%, ‘적정수준형’의 경우 54.4%, ‘갈등심화형’은 26.9%로 파악되어 ‘통합역량형’에 비해 ‘갈등심화형’의 비율이 높은 것을 살펴보았다. 셋째, ‘갈등심화형’을 준거집단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적정수준형’과 ‘통합역량형’은 노인 낙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더 높은 노인 낙인의 수준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 낙인을 줄이기 위한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 증진의 교육 및 프로그램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제언으로 세대통합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capability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nd elderly stigma in adolescents. To do this, the raw data from the 2016 Survey on Social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perform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o conduct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ree types were found according to adolescents capability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nd these types were named integration capability , proper level , and conflict worsening . Second, conflict worsening formed a larger part than integration capability : integration capability formed 18.7%, proper level 54.4%, and conflict worsening 26.9%. Third, with conflict worsening set as the reference group, proper level and integration capability negatively affected elderly stigma.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promoting adolescents capability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were presented to reduce elderly stigma.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