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 30년: 한반도 통일에 대한 함의
30 Years of German Unification: Implic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세아
- 新亞細亞 第27卷 第3號
- : KCI등재
- 2020.09
- 18 - 30 (13 pages)
2020년 10월 3일은 구 동독과 서독이 법적으로 통일을 완성한 지 30주년이 되는 날이다. 독일 통일 30년을 전후로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공존하는 상황을 목도하고 있다. 독일 통일 30년은 여전히 미완의 진행형이다. 1990년 이후 15년 간 엄청난 통일비용과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하여 독일은 ‘유럽의 병자’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독일 정치지도자의 대내·외교정책 수월성과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춘 독일 국민의 잠재력이 합쳐져서 통일문제를 슬기롭게 극복하였다. 통일 이후 25년 시점부터 성공적 평가가 언급되기 시작하였다. 독일 통일 사례가 한국의 통일 준비와 관련하여 전범(典範)이 될 수 없으나, 통일과 관련된 분명한 방향성과 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능력과 가용한 재원조달 등의 주도력이 필요하다. 동시에 당사자의 마음과 눈을 적극 고려하면서 세심하게 준비해야 한다. 완벽하게 준비된 사전 종합계획은 불가능하지만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최대한 세심하게 준비해야 한다. 나아가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우리들에게 새로운 통일 개념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統一’(外的 統一: 땅의 통일)을 넘어서 모든 사안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通一’(內的 統一: 사람과 마음의 통일)이다. 통일(統一)을 넘어서 하나되는 통합(統合)인 통일(通一)로 나아가야 한다.
After 30 years, German unification remains incomplete. The tremendous cost of unification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rendered Germany the “sick man of Europe.” Fortunately, high-quality political leaders and the hard work and commitment to democracy by the German people helped the country surmount those difficulties. Within 25 years, however, views changed and unification was seen as a success, even though problems, such as psychological issues caused by persistent economic differences, persist. German unification cannot be a model for Korea, but it can help uncover differences in circumstances without trial and error. Unification must be based on clear directions and principles, as well as initiative in raising financial resources. While it is impossible to prepare completely, it is necessary to do as much as possible. In this preparatio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30 years of German unification is crucial. Summarizing the lessons and implications of German unification for Korea requires a new concept of unification. No matter how unified the external conditions of life, this is not true unification. A new perspective and approach are needed. We must recognize, first, that unification is not complete with the simple removal of the armistice line. Resources, wisdom, and determination ar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Valley of Tears,” which will accompany the pain. Second, a new concept of unification is needed. We should pursue a unification of people and minds that encompasses all issues beyond the mere unification of territory.
Ⅰ. 독일 통일 30년을 보는 눈
Ⅱ. 독일통일: 일관된 통일원칙과 기조 유지
Ⅲ. 평화혁명과 통일 과정
Ⅳ. 통일 독일의 현주소 진단
Ⅴ. 독일 통일 30년: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에 대한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