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은 가족과 화목하게 살기를 바라고 이를 위해 노력하지만 이러한 바람이나 후천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과의 화목과 불화를 선천적인 요인에서 파악하기 위해, 이와 연관된 명리학 육친론의 이론체계를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명리학은 사람이 출생한 연월일시를 십간십이지로 바꾼 뒤에 선천적인 것을 예측하는 학문으로서, 가족과의 화목과 불화 또한 이 학문으로 예측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족과의 화목과 불화를 파악하는 이론에는 두 가지가 있다. 사주 네 기둥(연주·월주·일주시주)에 조상·부모·형제·자식을 배속하는 ‘궁위론(宮位論)’ 및 편관·정관, 편인·정인, 비견·겁재, 식신·상관, 편재·정재 등의 십성에 육친을 배속하는 ‘십성론(十星論)’이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방법론을 명리학 문헌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궁위론과 육친론 모두 동진 곽박의 《옥조정진경》에서 비롯, 오대말에서 송초 서자평의 《명통부》를 거치고 남송대 서대승의 《자평삼명통변연원》과 명대 당금지의 《연해자평》을 거쳐서 청대 심효첨의 《자평진전》육친론에서 두 이론체계가 종합되어 체계화되었다. 《자평진전》에서의 나와 육친과의 화목과 불화를 예측하는 이론의 첫 번째 특징은 궁위론과 십성론이 종합되었다는 것이고, 두 번째 특징은 조상궁, 부모궁, 배우자궁, 자손궁에 격국·용신의 희신(喜神)을 만나면 해당 육친과 화목하고 기신(忌神)을 만나면 불화한데, 이러한 궁위론과 십성론 모두 격국·용신과 직접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Everyone hopes to live harmoniously with their family and makes efforts toward this. However, there are often cases where they cannot do this, despite this hope and eff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a theory system of a theory related to families in Myeongrihak regarding harmony and disharmony within families in order to grasp them in innate factors. Myeongrihak is learning to change the pillars of the year, month, day, and time a person is born to 10 celestial stems and 12 terrestrial branches and predict their innate nature.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harmony and disharmony within families can also be predicted using this system. There are two theories to grasp harmony and disharmony within families. They are ‘Gungwiron (宮位論),’ in which ancestors, parents, siblings, and children are assigned to four pillars of Saju (pillars of the year, month, day, and time) and ‘sipseongron(十星論),’ in which family relations are assigned to Sipseong, including Pyeongwan·Jeonggwan, Pyeonin·Jeongin, Bigyeon·Geopjae, Siksin·Sanggwan, Pyeonjae·, and Jeongjae. This manuscript was studied with a method to analyze Myeongrihak literature using these two theories. As the result, both Gungwiron and the theory related to families originated from 《Yu Zhao Ding Zhen Jing》 by Guo Pu (郭璞) in the East Qin Dynasty, and the two theories were aggregated in the theory related to families of 《Japyeongjinjeon》 by Simhyocheom (沈孝瞻) in the Qing Dynasty via《Myeongtongbu》 by SeoJapyeong (徐子平) from the late Wu Dynasty to the early Qing Dynasty, 《Japyeongsammyungtongbyeonyeonwon》 by Seodaeseung (徐大升) in the South Song Dynasty, and 《Yan-jie-zi-ping》 by Danggeumji (唐錦池) in the Ming Dynasty. The results of studying the theory related to families in 《Japyeongjinjeon》 found that Gungwiron and Sipseongron were aggregated and systemized, and while people are harmonious when meeting Heesin (喜神) of Gyeokguk and Yongsin, they are disharmonious when meeting Gisin (忌神) in both of them.
1. 서론
2. 명리학 육친론의 형성과 발전
3. 명리학 육친론의 이론체계 정립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