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4년에 복간된 『조선요리법』을 중심으로 193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시기의 다식 관련 내용을 고찰하고 그에 내재된 문화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이 문헌의 부록에는 7가지 다식의 재료와 만드는 법이 내용으로 담겨 있었다. 즉 계절에 따라 다식의 주재료를 가루로 만들어 관리하는 방법, 다식에 색과 향을 내는 방법, 다식 반죽에 꿀·조청·설탕 등을 배합하는 방법 등의 노하우가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다식의 조리 상태 변화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어휘 표현으로 조리법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빠른 이해를 도모하였다. 나아가 다식은 일상의 손님상, 명절상, 돌·생일·생신·혼인날의 점심상, 어른의 원행(遠行) 혹은 친척과 친구 선물을 위한 찬합의 반과(후식이나 간식) 그리고 환갑잔치와 같은 큰상의 음식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양상이 나타나 있었다. 이상과 같이 기록된 『조선요리법』의 다식은 고유한 음식문화로서의 보전과 다음 세대로의 전수 그리고 전통의 뿌리 위에서 시대에 맞게 재창조되어야 할 가치를 반영하였다.
This thesis reviewed the contents of dasik from the 1930s to the 1950s in 『Joseonyolibeob』reissued in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inherent in the contents of dasik recorded in the literatur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appendix included seven dasik ingredients and how to make them. Second, know-how was suggested such as how to make and manage dasik s main ingredients into powder, how to make color and flavor in dasik, and how to mix dasik s dough. Third, the vocabulary that vividly conveys the changes in the cooking status of dasik helped to understand the recipe more accurately and quickly. Fourth, the use of dasik varied from daily guest hospitality, holidays, birthdays. weddings, stackable side-dish boxes for long trips or gifts for relatives and friends.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dasik recorded in 『Joseonyolibeob』were based on the patriotic spirit of maintaining our food cul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n the social turmoil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the motivation for writing included the desire to help discover and resurrect dasik as our culture by transferr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o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this literature was of value as an educational cultural heritage that taught that dasik could be recreated on the roots of tradition.
Ⅰ. 서 론
Ⅱ. 저자의 생애 및 저술 동기
Ⅲ. 『조선요리법』복간서의 구성 체제
Ⅳ. 『조선요리법』복간서의 다식과 그 활용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