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618-907)는 차가 일반 백성에게까지 광범위하게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로 중국의 차문화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되고 있다. 당대의 차문화는 차에 대한 최초의 전문서적인 『다경』을 비롯한 문헌들과 차시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노동(795-835)이 남긴 차시 <주필사맹간의기신차>에는 신선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차의 효용을 일곱 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통 받는 백성들의 삶을 대변하고자 했던 이 차시는 조선시대 이목의 『다부』, 이덕리의 『동다기』, 초의의 『다신전』, 『동다송』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오늘날까지 동서양의 차인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노동의 시에 담긴 차 정신을 고찰하여 ‘이상세계를 바라보는 선경지향의 도가정신’, ‘현실세계를 살아가는 수기치인의 유교정신’, ‘음수사원을 생각하는 구세제민의 애민정신’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노동의 차정신은 오늘날 차인들의 정신과 자세를 돌아보고 또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립하는 일에 의미 있는 시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ng Dynasty(618-907) is an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tea culture in China, as tea began to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The Tang Dynasty period offers a detailed look at tea culture through literature and books, including 『Dagyung(茶經) 』, the first professional book about tea. The Tea Poem「Jupilsamaingganeuigisincha」, which was left by Lu-Tong(盧仝, 795-835), describes the utility of the tea that leads to the ascetic in seven stages. In addition, the Tea Poem, which wanted to represent the lives of the suffering people, directly influenced the ‘Dabu(茶賦)’, ‘Dongdagi(東茶記)’, ‘Dasinjeon(茶神傳)’, ‘Dongdasong(東茶頌)’ of the Joseon Dynasty, and is still being spoken to by the tea artists of the East and West. Therefore, the review of the poem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spirit and posture of today s tea artists and move in a desirable direction.
Ⅰ. 서 론
Ⅱ. 당대 차문화의 양상
Ⅲ. 노동의 차시 <주필사맹간의기신차>
Ⅳ. 『주필사맹간의기신차』에 나타난 노동의 차정신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