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이공계 대학생의 단기 해외연수 경험 분석
Topic-modeling assisted analysis of STEM-undergraduates’ short-term study-abroad experience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 Vol.29, No.3
- : KCI등재
- 2020.09
- 85 - 111 (27 pages)
대학 국제화 기조와 함께 많은 대학이 다양한 형태의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학생들의 해외연수 경험과 평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참여 학생의 연수 결과보고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미국대학 단기 해외연수에 참가한 이공계특성화대학 학부생 175명의 연수 결과보고서를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연수 경험에 대한 주제 지도를 파악해보았다. 추출된 토픽은 크게 문화와 학업으로 범주화되었고, 전자에는 문화간 의사소통, 인간관계, 일상생활, 여행, 문화체험이, 후자에는 UCB 학업, JHU 학업, 과학 관련 수업, 수업 정보, 수업 활동이 포함되었다. 두 가지 범주를 매개하는 키워드로는 수업, 학생, 영어, 시간, 생각이 추출되었다. 토픽모델링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연수 참가 학생의 경험을 다면적으로 조망한다. 또한, 담론분석방법으로서의 토픽모델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논의한다.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many universities have be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various types of study abroad programs to promote students’ global sensitivity and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students’ post-journey reports on study-abroad activities and evaluation,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ir perceived experience and educational effects of a study abroad progra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175 reports from the students at a STEM-specialized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its short-term study-abroad program hosted by U.S.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corpus of report texts using a topic-modeling method. The analysis shows that generated topic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ulture and study. The former category includ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 everyday life, tourism, and firsthand cultural experience, whereas the topics in the latter category are study at UCB, study at JHU, science-related courses, course information, and classroom activities. The keywords connecting these two categories are class, student, English, time, and idea. The semantic map resulting from the generated topics and keywords were compared with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o gain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students’ study-abroad experience.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opic-modeling as a tool for discourse analysis are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