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嶺南地方 積石木槨墓의 時空的 變遷

The Study of SynChronic Diachronic Shift of Wooden Chanmber Tomb with Stone Mound in Yongnam Region

  • 112

본 글은 영남지방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는 積石施設을 가진 木槨墓, 즉 石材充塡木槨墓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 이러한 석재충전목곽묘들은 목곽묘의 한 變形으로 보거나, 석곽묘의과도기적 양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그것들을 봉토를 제외한 부분의 묘제 명칭으로만 부른다면 積石木槨墓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대부분 적석목곽묘로 분류하였다. 또 경주분지의 적석목곽분 역시 墓를 기준으로 한다면 적석목곽묘로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유형들을 별개의 표제로 보지말고 적석목곽묘라는 하나의 표제로 범주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적석목곽묘를 時空的으로 검토한 결과 그 분포는 경주지역에만 한정된 범위를 가진다는 통설과는 달리 영남지방의 洛東江以東地方에서는 대부분 축조되며, 洛東江以西地方에서도 일부 확인되고 있다. 또 적석목곽묘는 初期 高塚으로 성립하여 초대형 고총으로 발전을 한후 석실묘로 대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적석목곽묘의 시공적 변화양상을 통하여 5기의 劃期를 설정하였다. 먼저 적석목곽묘가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출현하는 과도기를 發生期, 완비된 적석시설을 갖춘 적석목곽묘가 완성된 후 初期 高塚으로 성립하는 시기를 成立期, 이러한 적석목곽묘가 경주지역 이외의 주요 거점지역으로 확산되는 시기를 擴散期, 경주지역은 초대형 고총으로 발전하고 이외의 지역은 地域高塚樣式으로 轉化하는 시기를 發展期, 마지막으로 경주지역에서만 적석목곽묘가 잔존하고 나머지 지역은 석실묘로 대체되는 消滅期가 그것이다. 이러한 각 획기들은 新羅 積石木槨墓의 成立과 展開樣相을 잘 알려주는 것으로 특히 성립기와 발전기의 양상은 적석목곽묘의 高塚化에 대한 이해를, 그리고 확산기와 소멸기는 특정 墓制의 擴散을 통해 地域集團간의 다양한 政治 · 經濟的 相互作用의 양상을 알려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mong burial systems founded in Yongnam Region, Korea in Three Kingdom Period.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is a burial type that installs wooden chamber in a grave pit and fills the gap between wooden chamber and a pit with stones or that sets up wooden chamber on the ground and covers it with stones then earth when the tomb is constructed. Such a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centered in Gyeongju locality and are largely found in Yongnam Region. Sometimes this burial type is also found in the region of Gangwon Province.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has been changed through five phases. First is the time of appearance when the wooden chamber with stone mound began to emerge in Gyeongju locality Second phase is the time of establishment when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in Shilla became to be settle down as a proto-tumulus or -great mound. Third phase is the time of dissemination when the burial type was spread from Gyeongju to all the region and the other regions. Fourth phase is the time of development when the tomb became extra-large sized like Hwangnam Great Mound. The final phase is the time of disappearance when the tomb was replaced by a stone chamber with the earth mound. Such phases reveal the process that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was developed as a major burial system of the ruling class in Shilla. Specially, it is believed that the phenomena of the time of establishment and of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key to understanding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of Shilla and its surrounding areas.

Ⅰ. 머리말

Ⅱ. 적석목곽묘의 개념정리

Ⅲ. 영남지방 積石木槨墓의 分布

Ⅳ. 영남지방 積石木槨墓의 시공적 변천

Ⅴ. 新羅 積石木槨墓의 意義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