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이 글은 함안 도항말산리고분군의 무덤에서 확인된 들보시설(감실)을 대상으로 그 기능과 계통에 대해서 재검토한 글이다. 분석대상은 들보시설이 확인되었거나 추정되었던 10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석곽내부의 양장벽에 설치된 들보시설은 내부의 주피장자를 안치한 목관을 1차적으로 보호하는 들보(梁)를 끼우기 위한 시설로 판단되었다. 또한 그 설치지점에 의해 주피장자, 유물부장, 순장자공간의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 공간분할의 기능도 함께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양단벽에 설치된 들보시설은 양장벽의 들보시설에 끼워진 들보와 맞닿아 목개의 기능을 가미한 목관의 2차 보호시설로 파악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상부개석의 붕괴를 대비한 순장자공간과 유물부장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도 겸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외에도 日本의 和歌山縣의 橫穴式石室墳에서 확인된 石梁시설과 같이 강도가 약한 벽석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들보시설의 계통은 묘제형태, 규모, 시기,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구려와 백제지역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에 제기된 함안지역 자체발생설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들보시설은 석곽의 규모가 약 7~9m정도의 초대형수혈식석곽묘에서만 설치되었고, 무덤의 조영시기가 5세기 3/4~6세기 1/4분기의 한정된 시기에만 확인된다. 이 시기는 신라가야지역의 무덤축조기술이 가장 발전된 시기이다. 들보시설은 이 시기에 함안지역을 무대로 성장한 안라국(아라가야)의 숙련된 무덤축조기술력과 매장방법이 결합해서 창안된 독특한 구조로 볼 수 있다.
It is this study that reinvestigates the function and origination about a cross-equipment excavated in the some of Dohang and Malsan-ri tombs. Ten tombs confirmed and estimated the crossbeamequipment is analysed, in consequence this system installed both long walls in the Stone-line tomb has the first object to protect the main dead man s wooden coffin, I think. In addition it is divided by the point installing, a space partition, that it, the main dead, the living buried with him and the room that is put with materials. It is the second protection system of the coffin, that a crossbeamequipment of the long wall crosses its of the short, as well as I think that it has the function to prevent the room that is put with a material and the living buried from breaking a cover stone. Besides a cross - equipment has the function to prevent a weak stonewall from breaking like the stone-bridge(石梁) equipment excavated in thε stone line chamber(竪穴式石室墓) of 和歌山縣 in Japan. A origin of this equipment isn t similar with Kokurye and Baekjae in the burial-frame, scale, age, function Etc. so I insist that a previous theory of occurrence itself in Haman should be very reasonable. This cross equipment is only installed in the extra-large of about 7∼9m and is excavated between 3/4 5c and 114 6c. I think that this equipment in An-ra s tombs to build in Haman region is very popular in this time. Beside the crossbeam equipment is a technique to construct the tomb that is related to a special burial method.
목차
Ⅰ. 머리말
Ⅱ. 硏究現況
Ⅲ. 資料檢討
Ⅳ. 機能과 系統
Ⅴ.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