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加耶墓制의 龕室 再檢討

Reappraisal niche in the Kaya tombs - focusing on the Dohang and Malsan-ri tombs in Haman

  • 73

이 글은 함안 도항말산리고분군의 무덤에서 확인된 들보시설(감실)을 대상으로 그 기능과 계통에 대해서 재검토한 글이다. 분석대상은 들보시설이 확인되었거나 추정되었던 10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석곽내부의 양장벽에 설치된 들보시설은 내부의 주피장자를 안치한 목관을 1차적으로 보호하는 들보(梁)를 끼우기 위한 시설로 판단되었다. 또한 그 설치지점에 의해 주피장자, 유물부장, 순장자공간의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 공간분할의 기능도 함께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양단벽에 설치된 들보시설은 양장벽의 들보시설에 끼워진 들보와 맞닿아 목개의 기능을 가미한 목관의 2차 보호시설로 파악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상부개석의 붕괴를 대비한 순장자공간과 유물부장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도 겸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외에도 日本의 和歌山縣의 橫穴式石室墳에서 확인된 石梁시설과 같이 강도가 약한 벽석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들보시설의 계통은 묘제형태, 규모, 시기,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구려와 백제지역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에 제기된 함안지역 자체발생설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들보시설은 석곽의 규모가 약 7~9m정도의 초대형수혈식석곽묘에서만 설치되었고, 무덤의 조영시기가 5세기 3/4~6세기 1/4분기의 한정된 시기에만 확인된다. 이 시기는 신라가야지역의 무덤축조기술이 가장 발전된 시기이다. 들보시설은 이 시기에 함안지역을 무대로 성장한 안라국(아라가야)의 숙련된 무덤축조기술력과 매장방법이 결합해서 창안된 독특한 구조로 볼 수 있다.

It is this study that reinvestigates the function and origination about a cross-equipment excavated in the some of Dohang and Malsan-ri tombs. Ten tombs confirmed and estimated the crossbeamequipment is analysed, in consequence this system installed both long walls in the Stone-line tomb has the first object to protect the main dead man s wooden coffin, I think. In addition it is divided by the point installing, a space partition, that it, the main dead, the living buried with him and the room that is put with materials. It is the second protection system of the coffin, that a crossbeamequipment of the long wall crosses its of the short, as well as I think that it has the function to prevent the room that is put with a material and the living buried from breaking a cover stone. Besides a cross - equipment has the function to prevent a weak stonewall from breaking like the stone-bridge(石梁) equipment excavated in thε stone line chamber(竪穴式石室墓) of 和歌山縣 in Japan. A origin of this equipment isn t similar with Kokurye and Baekjae in the burial-frame, scale, age, function Etc. so I insist that a previous theory of occurrence itself in Haman should be very reasonable. This cross equipment is only installed in the extra-large of about 7∼9m and is excavated between 3/4 5c and 114 6c. I think that this equipment in An-ra s tombs to build in Haman region is very popular in this time. Beside the crossbeam equipment is a technique to construct the tomb that is related to a special burial method.

Ⅰ. 머리말

Ⅱ. 硏究現況

Ⅲ. 資料檢討

Ⅳ. 機能과 系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