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多鈕細文鏡으로 본 韓國과 日本

Korea and Japan from perspective of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 113

다뉴세문경은 한반도를 대표하는 독자적인 청동거울이다. 이러한 형태의 동경은 한국과 일본에서만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 내에서도 서남부와 일본의 北部九州에 집중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지역의 관계는 아주 밀접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뉴세문경은 크게 대형(3구)과 소형(2구)로 구분되며 각기 문양이 복잡해지며, 뉴가 2개에서 3개로 바뀌는 경향성이 인정된다. 이러한 형식적 변화와 공반유물과의 관계를 비교하면 크게 두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소형의 2구 세문경이 북부구주를 중심으로 군집한 무덤에서 무기류와 공반하여 출토되는 반면 대형인 3구 세문경은 近畿지역과 北部九州에서 단독의 제의와 관련된 유구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에 기초하여 한반도의 양상을 보면 2구 세문경은 소형군집묘에서 철기와 공반하며 3구 세문경은 단독묘로서 청동방울류와 주로 공반한다. 이러한 차이는 무력과 생산력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인 지배자와 제의를 기반으로 하는 제사장의 무덤부장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닐까? 이는 시기적인 차이가 있으나 『三國志』에 기록된 天君蘇塗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are represented as one of the most typical bronze mirror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多鈕細文鏡) are originated form Korea. It is only in Korea and Japan where they have been excavated. More specifically, the excavated area have been concentrated on southwestern province in Korea. We can be sure that there was a sort of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 is something more than we ve mentioned. In Japan the mirrors with coarse lines on their backs(多鈕細文鏡) were not excavated, but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have been excavated. And then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with 2-circles have been co-excavated with arms in tombs around northern Kyushu(北九州), whil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with 3-circles have been excavated at sites related to such religious cities as Kingi(近畿) and northern Kyushu in Japan. Compared with in Japan, in Korea as well,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with 2-circles were entombed with iron ware in a large group of small tombs and the mirrors with minute designs with 3-circles were entombed with kinds of bronze bells used in ceremonies by priests Following as a result from facts above, we can say, are not the differences of patterns of bronze mirrors made from differences between chiefs based on power and productivity and priests in primarily charge of ceremonies and spirituality? Especially, Shaman(天君) and Sodo(蘇塗) recorded in Samgugji(三國志) show us that mirrors with minute designs have something to do with patterns of burial, though there s some disparity in time table.

Ⅰ. 머리말

Ⅱ. 다뉴세문경의 분류와 편년

Ⅲ. 한국과 일본의 다뉴세문경의 비교

Ⅳ. 정치적 수장과 제사장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