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蔚山式 住居址의 增築과 社會的 意味

The social meaning in the enlargement of Ulsan type pit house

  • 140
커버이미지 없음

한반도의 무문토기문화는 지역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항-경주-울산 지방에서도 뚜렷한 지역성이 확인되는데, 검단리식 토기와 울산식 주거지로 특징 지워진다. 울산식 주거지는 방형 또는 장방형의 평면형태이면서 벽주구와 배수구, 무시설식 노지 등이 갖추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울산식 주거지의 특징으로 주거지의 규모 확장을 도모한 증축의 흔적이 확인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울산식 주거지의 증축은양방향증축형과단방향증측형으로 구분된다. 양방향증축은 주거지 주혈배치의 변화가 없는 반면, 단방향증축은 주혈배치의 변화가 있는 증축방법이다. 울산식 주거지의 증축면적은 다양한데, 크게 5㎡, 10㎡, 16㎡, 22㎡ 정도로 나누어진다. 일인당 평균주거면적을 4.5㎡로 상정했을 때, 5㎡ 확장은 1인, 10㎡는 2인, 16㎡는 3~4인, 22㎡는 4~5인의 가족구성원이 증가했을 경우로 추정된다. 울산식 주거지의 면적 분포는 5~40㎡까지로 다양하며, 10~20㎡ 사이의 주거지가 가장 많다. 이렇게 울산식 주거지의 면적분포가 다양하고 증축한 주거지가 확인되는 현상은 울산식 주거의 가족구성원 수가 매우 유동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Mumun Pottery Period (c. 1500-300 B.C.)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had different regional expressions. Clear regional differences are characterized by Geomdan-ni-type pottery and Ulsan-type pit-houses in the region connecting the modern cities of Pohang, Gyeongju, and Ulsan. Ulsan-type pit-houses are characterized by square or rectangle plan-shapes, wall ditches, drainage ditches, and hearths. Importantly, evidence of rebuilding, more specifically the expansion or enlargement of pit-houses, has been discovered.Two kinds of enlargement can be discerned: expansion of one side of the pit-house and expansion of both sides of the pit-house. When one side of the pit-house was enlarged, the arrangement of poles had to be altered. However, when both sides of the pit-house were expanded, the arrangement of poles remained the same. The size of expanded areas vary and are classified as follows: 5㎡, 10㎡, 16㎡ and 22㎡. If we consider that the space for a single person s use in Korean pit-houses is approximately 5㎡, then the basic expansion unit would be 5㎡ per person. The roofed area of pit-houses ranges widely from 5㎡ to 40㎡, but is concentrated from 10㎡ to 20㎡. The fact that pit-house enlargement occurred regularly confirms that family and/or household structure changed relatively easily.

Ⅰ. 머리말

Ⅱ. 울산식 주거지의 특징

Ⅲ. 증축의 정의와 흔적

Ⅳ. 조사사례의 검토

Ⅴ. 주거지 증축 방법

Ⅵ. 증축과 가족 구성원

Ⅶ.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