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韓日 靑銅器時代 石器 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one Tool in the Bronze Age Between Korea and Japan

  • 37

본고에서는 마제석기의 일본열도 전파 과정을 살피기 위하여 北部九州의 대륙계마제석기와 남한지역의 마제석기를 비교하였다. 대륙계마제석기는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반도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하여 성립되었기 때문에, 양 지역의 문화전파를 이해하는 데에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 측의 연구성과가 어느 정도 집적되어 있어, 이를 기본적으로 참조하면서 석기의 형식과 조성에 대하여 한반도 자료와 비교·검토하였다. 석기 형식에 대한 비교 결과 대부분의 기종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일부 수용자 측의 필요에 의한 능동적인 선택이 추정되었다. 그리고 도작문화의 전파 경로에 대해서는 기존에 제기되었던 낙동강유역,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강유역일대가 후보지로 상정되었으며, 서해안지역과의 관련 가능성도 지적할 수 있었다. 한편, 석기 조성의 비교를 통해서는 수도농경의 본격화라는 동일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생계경제 방식에서 양 지역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석기제작 규모에서도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벌채부와 가공부의 상대 비율을 통하여 삼림개발과 수전경영이 한반도에서 성행시기를 달리하는 것에 반하여 北部九州에서는 동시에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author compared the stone tools in Southern Korea and Northern Kyushu area to reveal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t is important to study on the continental assemblage of stone tool kit because as its name, it proves the above mentioned diffusion. Following the result of some analysis in Japan, I compared the types and composition of these stone tools in both area. About the types, it i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active selection depend on their demand in the process of adoption in Northern Kyushu area, although most of stone tools are showed similarity. And about the origin area of the diffusion, it seems to be the Nam-river area as some scholars mentioned, but there is possibility that some elements are from West coast area. Through comparing the composition, subsistence patterns in both regions were different in spite of their acceptance of wet-rice cultivation. And in Southern Korea, the peak of deforestation and reclamation of rice fields was not seen in the same stage, but in Northern Kyushu they seemed to have progressed simultaneously.

Ⅰ. 머리말

Ⅱ. 石器 型式의 比較

Ⅲ. 石器 組의 比較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