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慶南地域 靑銅器時代 무덤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A study of the Bronze Age Tombsin the Gyeongsangnam-do Area

  • 35

경남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에 대한 연구는 지석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러한 지석묘는 다양한 구조에 비해 출토유물이 거의 없어 지금까지의 제 연구는 구조의 변화를 각 단계로 설정한 후 일부 소량의 유물이 출토되는 무덤의 구조를 기준으로 무덤 전체를 편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최근까지도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발굴조사를 통해 新 資料가 등장할 때마다 형식 분류가 새로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기존 선학들의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신자료들을 정리하고자 무덤에 부장된 유물들을 정리하여 시간적인 축을 마련하고 이를 기준으로 무덤들에서 나타나는 속성들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청동기시대 묘는 관의 구조나 관재의 종류와 같이 개별 속성이 유구 전체의 시기를 반영한다고 할 수 없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은 묘광의 깊이(淺壙→多段 深壙)·유물의 부장위치(부장 칸→관 곳곳) 등이며, 개석의 형태(한 겹이 先, 多重+上石이 後)와 묘역의 형태(周溝形이 先, 區劃形이 後)에 있어서는 발생순서만 파악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묘의 시간적인 위치는 부장유물 뿐만 아니라 여러 속성들의 조합양상을 파악해야만 안정적인 편년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靑銅器時代 後期의 墓는 전형적인 형태의 것들 보다 여러 형태들이 혼합되어 전개되는 경향이 강하다. 棺 組立材料의 多樣(板石+木 棺, 割石+木 棺, 板石+割石)化와 遺物 副葬空間의 多變化 등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이는 복잡한 구조을 띠는 완성형의 지석묘(묘역+상석)가 청동기시대 전기에 등장함과 동시에 재지의 석관묘·토광묘 등과 조합되어 다양하게 변화·발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청동기시대 후기무덤의 가장 큰 특징은 조직적인 묘역의 구성과 배치이며, 이는 청동기시대 중기 사회의 구조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즉 성숙된 농경사회에 접어들면서 노동의 효율적인 이용과 배치가 묘의 축조형태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도작 농경에 기반한 잉여생산물의 재분배와 관련된 경제적 불평등에 의해 야기된 사회적 계층화에 따라 보다 조직적이고 획일적인 공동묘지가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Studies on the mortuary practices during the Bronze Age in Korea have largely focused on the external features of dolmens. It is only recently that an increasing quantity of archaeological data on the early Bronze Age tombs has opened up diverse research possibiliti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approximately 500 tombs of the Mumun (plain pottery) period in the Gyeongsangnam-do area, this research attempt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Bronze Age tombs as well as to gain insight into the so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ngguk-ri-type culture of the latter Bronze Age. Observation of external features, such as the shape of coffins and burial pits, reveals that the depth of burial pits increased with time. The ground plan and the placement of grave goods also exhibit increasingly diversified patterns distinct from those of the earlier period. Thus, the structural remains and the artifact assemblage hold key clues to estimating the date of a grave. The earliest burial sites in the Gyeongsangnam-do area are either burial pits or stone cists. They invariably have a separate space for funerary objects, as is typical in the early Mumun period burial practices. Such spaces diversify in shape and location with the appearance of dolmens. The evolution of burial pits and stone cists continues in the Songuk-ri-type dolmen period, with their orderly, systematic arrangement displaying a typical graveyard plan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And this social differentiation must have already started in the Mumun period whose tombs suggest an obviously unequal society.

Ⅰ. 序論

Ⅱ. 副葬遺物의 編年

Ⅲ. 무덤의 構造와 屬性觀察

Ⅳ. 展開樣相

Ⅴ.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