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서부경남 加耶 竪穴式石槨墓의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xpropriate of Vertical Entrance Burial in West Kyung-nam Gaya Province

  • 70

가야묘제를 대표하는 竪穴式石槨墓는 지하 또는 반지하식의 장방형 墓壙을 파고 그 내부에 割石 또는 판석을 이용하여 평면 세장방형의 石槨을 구축하고 그 위에 여러 매의 개석을 얹은 구조를 하고 있으며, 중심 고분군의 대형분에서는 대체로 石槨 위에 거대한 봉분을 쌓고 있다. 이러한 서부경남 가야의 竪穴式石槨墓는 이전 시기의 木槨墓에서 순차적으로 변화 발전하여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일찍부터 등장하여 형식 변천을 거듭하고 있던 김해부산지역으로부터 石槨 축조기법만을 받아들여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竪穴式石槨墓 등장 직전에 축조된 木槨墓의 墓壙의 장폭비와 바닥시설, 유물부장 위치 등 여러 요소들이 변함없이 竪穴式石槨墓에도 채용되었다.뿐만 아니라 유물 역시 木槨墓에 부장되었던 것이 그대로 竪穴式石槨墓에도 부장되고 있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木槨墓 부장 토기들이 「형식 난립기」의 토기들이라고 부를 정도로 다종다양한 것임에 비해 竪穴式石槨墓 부장토기는 지역색이 뚜렷한 정형화된 자료들이 부장되고 있다. 이처럼 다종다양한 토기문화가 정리되어 지역색이 뚜렷한 정형화된 토기문화로 바뀌었다는 것은 竪穴式石槨墓의 등장과 함께 축조되기 시작한 거대한 高塚古墳과 함께 서부경남의 가야제국이 뚜렷한 정체성을 확립한 지역 정치체로 성장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인 증거라고 생각된다. 주제어; 竪穴式石槨墓, 木槨墓, 墓壙, 내부주체, 장폭비, 回轉沈線文, 고배.

The vertical entrance burial, a representative kind of Gaya mortuary feature, is built underground or partly underground of a rectangular pit lined with river cobbles or flat stones. The stones are placed to form the structure of a narrow rectangular chamber, on top of which are piled stones. The central subterranean-style vertical entrance burials have a large mound constructed over them. In this way, the subterranean-style vertical entrance burials of Western Gyeongnam did not appear as successively changed wooden chamber burials, but the construction of this mortuary type originates from the stone chamber construction form that appeared early in the Gimhae Busan area and was repeatedly transmitted.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 adopted the physical dimensions of the burial pit, burial floor features, location of mortuary artifacts, and many elements were adopted without any change from the wooden chamber burials that directly preceded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 Not only that, the same kinds of artifacts that were interred with the deceased in wooden chamber burials were used in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There is a high degree of variation in the form of pottery that was characteristically interred as mortuary offerings in the wooden chamber burials, and as such it represents wealth. Yet in comparison the character of the pottery of the vertical entrance burials is that it displays obvious regional differences and a degree of vessel standardization.It is thought that the switch from a variable and diverse pottery culture to increasingly regionally standardized pottery -- along with the emergence of vertical entrance burials and large-scale mounded tombs -- is the formation of the identities of the various Gaya polities and is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egional polities.

Ⅰ. 머리말

Ⅱ. 木槨墓와 竪穴式石槨墓

Ⅲ. 竪穴式石槨墓 수용기의 유물의 변동

Ⅳ. 서부경남 加耶 石槨墓의 원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