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울산을 중심으로하는 동남부지역에서 현재까지 공백으로 남아 있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주거지의 변화와 출토유물의 검토를 통해 기존에 청동기시대 중기로 알려진 유구 중 일부는 후기까지 시기가 내려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검토대상유구는 세 시기로 나누어진다. 1기는 울산식주거지에 원형점토대토기와 관련된 유물이 출토하거나 울산식주거지에서 변모한 주거지에서 유물은 중기 말의 요소인 무문양의 심발형토기가 주로 출토된다. 2기는 주거지의 형태는 울산식주거지에서 이탈한 1기와 동일하지만 삼각구연점토대토기가 출토된다. 3기는 주거지의 평면형태가 타원형으로 일변하며 아궁이가 벽쪽에 설치된다. 유물은 삼각구연점토대토기와 와질토기가 공반된다.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지역은 원형점토대토기문화가 이입되면서 두 문화가 공존하지만 점차 재지민의 문화가 위축된데 반해 울산을 중심으로하는 동남부지역은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파급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곳이다. 이곳은 중기문화를 영위한 재지민들의 문화가 삼각구연점토대토기문화가 발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ludy examined that some or the Middle Bronze Age relics might have lasled unlit Lhe Late Bronze Ag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data of excavated relics and studies for the trend of habilalion in soulh eastern area focused on Ulsan. which have never been studied so far. There are lhree sLages for relics in research. At the lst stage. the relics which are related to round clay striped pottery in Ulsan style hubitation and patternless deep bowl pottery (at the end of Middle Bronze Age) in transformed habitation against Ulsan style were found. The 2nd stage is the time when triangular rim clay striped potteries were excavated. At the 3rd stage, the shape of habitation changed into oval. with a stove built to the wall. This is the age that triangular rim clay striped pottery is excavated wilh soft tile pollery. At the beginning. native culture and the culture or round clay stripped pottery lived Logether. and then original culture gradually disappeared. However. the influence of round clay stripped pottery around south eastern area focused on Ulsan was rather weak. In conclusion, native culture in Middle Bronze Age has lasted by the time when triangular rim clay striped pottery culture has appeared.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자료의 검토
Ⅳ. 주거지의 변화와 상대편년의 검토
Ⅴ. 동남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의 지역성
Ⅵ.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