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豆滿江流域 無文土器의 實相

A Study of Coarsely Plain Pottery called Mumun pottery in the Duman River Basin

  • 15

2005년 국립김해박물관의 특별전 “전환기의 선사토기”에 전시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두만강유역 무문토기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①두만강유역 무문토기시대 전반기의 주종을 이룬 토기는 외반구연의 심발형토기이다. ②저부에서 동체부로 축약 없이 곧게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③마연기법을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다. ④구연부를 외반시키면서 두텁게 처리한 후 指頭를 이용하여 돌출시킴으로서 돌대 효과를 낸 이른바 ‘지두(상)돌대문’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⑤공열문계 문양은 네 가지의 시문방법이 있으며, ⑥‘∧’ㆍ‘∨’ㆍ‘∩’ 문양은 현재 두만강유역에서만 확인되는 특이한 요소이다. ⑦소성 후에 문양이 시문된 적색마연토기는 두만강유역 내에서도 하류역의 해안가에 분포하며, 무문토기시대 후반기로 편년된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남한 무문토기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기 각목돌대문토기의 계통은 두만강유역이 아닌 서북지역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무문토기시대에 동해안지역은 동북형석도, 부리형석기, 외반구연공열문토기, 표면 마연된 심발형토기, 파수부토기 등에서 두만강유역과 지속적으로 교류하였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some collections of coarsely plain pottery called Mumun pottery from the Duman River Basin, which had been colle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1910-1945). Some of them had been displayed on the occasion of the special exhibition titled ‘The Pottery in the Transitional Period in Korea’ in 2005, which was organized by Gimhae National Museum. This paper is based on not only the observation but also examination of the pottery remains. The result suggests several points; For example, grinding technique had been adopted. Pottery designs made by finger and fingernail had been often found. The designs shaped ‘∧’ ‘∨’ or ‘∩’ had been frequently found. These features can be compared with the coarsely plain pottery of the South Korea. The result implies that the pottery with protruded band pattern called ‘Doldaemun pottery’ had not originated from the Duman River Basin but the Amrok(Yalu) River Basin. It is thought that the Youngdong region and the Youngnam region had accepted cultural elements from the Duman River Basin continuously. Such phenomena might be supported by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such as the so-called the East Coast-type knives, pottery with handles and so on.

Ⅰ. 머리말

Ⅱ. 자료의 관찰

Ⅲ. 두만강유역 무문토기의 특징과 편년

Ⅳ. 남한 무문토기문화와의 관련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