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2~4世紀 黃海道地域 古墳 分布 定型의 變化와 意義

Th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omb in Hwanghae-do from 2nd to 4th A.D.

  • 35

본고에서는 대방군의 故地로 알려진 황해도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2~4세기대에 걸친 古墳 分布 定型의 변화상을 통해 313년 전후 대방군 지배 세력의 정치적 동향을 검토해 보았다. 본고의 논지 전개는 전실묘가 분포하는 황해도 멸악산맥 이북 지역을 殷栗, 安岳, 信川, 鳳山, 銀波의 5개 단위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단위지역의 기년명전을 포함한 전실묘의 분포상과 출현기 석실묘의 분포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하였다. 고분 분포 정형의 변화상 검토를 위한 획기의 설정은 대방군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하는 313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을Ⅰ期,그 이후를Ⅱ期로 하였다.Ⅱ期는 다시 석실묘가 출현하는 4세기 중엽을 기점으로 각각Ⅱa期와Ⅱb期로 구분하였다. 검토 결과 본고의Ⅰ期에는 황해도 전 지역에서 전실묘의 분포상이 고르게 확인된 반면, Ⅱa期가 되면 전실묘의 분포 범위는 안악과 신천지역으로 縮小되고,석실묘가 출현하는 Ⅱb期에 이르면 전실묘의 분포 범위는 급격히 축소되어 신천 일부지역으로 限定 된다. 이와 같은 전실묘의 분포 범위 축소와 더불어 Ⅱ期의 또 다른 특징은 앞 시기의 전실묘 밀집지와 배타적인 공간을 입지로 하여 새로운 묘제의 영향을 받은 대형 고분이 출현한다는 점이다. 張撫夷墓와 안악3호분은 각각 본고의 Ⅱa期와 Ⅱb期에 해당하는 고분으로 前者는 석실묘의 영향을 받은 전실묘이고 後者는 석실묘로 양자 모두 이전 단계의 전실묘와는 구분되는 구조적 특징을 지녔다. 두 고분 모두 당대 황해도 지역최고 위계의 인물을 피장자로 한다.이와 같이 본고에서 검토 대상으로 한 2~4세기에 걸친 전실묘의 분포 범위 축소 및 前단계 전실묘와 배타적인 입지에 새로운 묘제가 출현하는 현상은 313年을 기점으로 고구려에 의해 이루어진 이 지역 정치 세력에 대한 統制와 再編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방군 지배 세력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정한 정치적 독립성을 유지하며 고구려의 지배에서 벗어나 있었다는 기존의 견해는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data examining the change of distribution in brick-made and stone-made chamber tombs at Hwanghae-do from 2nd to 4th A.D. In previous researches,i t has been noted that Hwanghae-do belongs to Taebang’s territory in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until early 4th A.D. The brick-made chamber tombs in this area have been assumed as burials of the governing class in Taebang. The previous researchers propose that the bricks engraved with Chinese chronological era on the tombs are one of the evidence representing the cultural and political identity of Taebang’s governing class. In addition,so me bricks and brick-made chamber tombs from 314 A.D. to early in the 407 A.D. show the independent political power of Taebang. It has been also noted that Taebang maintained its political independence until 427 A.D. at which the capital of Kogurye was moved from Kuknae to Pyungyang. However,t he previous researches just focused on the existence of the brick engraved with Chinese chronological era but overlooked the analyses of the context of archaeological data about Taebang. This paper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all burials and bricks engraved with Chinese chronological era from 1st A.D. to early in the 4th A.D. at Hwanghae-do in North Korea. I find out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burials in this area are classified as the stages of,b rick-made and stone-made chamber burials,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In conclusion,th e range of spatial distribution of brick-made chamber tombs h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fall of Taebang by Kogurye in 313 A.D. to the appearance of stone-made chamber tombs in 350 A.D.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burials has been changed as a result of the reorganization of Taebang’s political community which was forced by Kogurye.

Ⅰ. 序 論

Ⅱ. 單位地域의 設定과 對象 資料의 分布

Ⅲ. 年代와 劃期

Ⅳ. 各 劃期의 古墳 分布 定型의 變化와 意義

Ⅴ.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