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5~6세기 성주양식토기 및 정치체 연구

A Study of the Seongju style pottery and the Polities in the Seongju Are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 62

본고에서는 5~6세기 성주지역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토기의 분석을 통하여 성주양식토기의 변천과정과 특징, 분포범위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성주지역에 존재하였을 정치체의 성격과 범위, 주변 지역과의 관계 등을 확인해 보았다. 성주양식토기의 변화상은 크게 4단계로 나뉘어 설명되는데, 1단계는 경주로부터 신라 중앙양식 기종이 유입되는 시기(본고의 I분기), 2단계는 재지(성주지역)공인이 중앙양식을 모방하여 토기를 제작하고 일정 기종의 제작에서 관습화된 기술행위의 등장, 즉 소지역양식이 발생한 시기(본고의 II분기), 3단계는 관습화된 기술행위의 전승과 미세한 시기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 즉 소지역양식이 존속되고 지역양식토기가 다양화되는 시기(본고의 III, IV분기), 4단계는 전혀 다른 제작공정이 등장하는 시기, 즉 소지역양식이 소멸하는 시기(본고의 V분기)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편 성주양식토기는 성주분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당히 제한적인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영남 내륙에 위치한 성주지역의 자연지리적 위치, 남쪽 대가야의 존재,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존재하였을 신라의 간섭(지배)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 기록, 성주 주변 지역의 복속 시기를 참고로 하여 성주 지역이 4세기 후~말엽 신라에 복속되었음을 추정하였으며, 성주지역 정치체는 4세기 말엽 신라에 복속된 이후 주변 대가야와는 더 이상친연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며, 대구지역 정치체와는 동일한 신라의 지방 지배 구조 하에서 친연적 관계를 유지하였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ongju style pottery which had existed in the Seongju are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nd examine character of the polities in Seongju area. Four different stages were establish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pottery identifi ed in the area. The first stage, which is Gyeongju style pottery flow in Seongju area. The second stage, which is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area was first identified from the stage. The third stage, which is its various features appeared and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area was remained. The fourth stage, it was the stage that its various features disappeared and that the influence of the Gyeongju style pottery became higher.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eongju style pottery was able to be explained by its external form, burning technique and decoration. On the one hand We know that the Seongju style pottery had a restrictive range, it is explained that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Seongju area and the existence of Daegaya and the Silla’s superintendence. Morever, I conjectured the Seongju area was conquered between the late and later fourth century to Silla. The following three factors support such a fact: (1) the pottery identified in the Wooden Chamber No. 1 of Sibisil; (2) the existence of Ilrichon’s chief appearing in Samguksagi (Vol. 45); and (3) the timing of conque st of the neighboring areas of Seongju, such as Daegu and Gyeongsan. Finally, I concluded the Seongju and Daegaya areas might be unable to keep friendly relations any longer, after the later fourth century when the former was subjugated to Silla, whereas the polities in Seongju and Daegu areas might have maintained amicable relations under the same dominant structure of Silla, given fact that they show a similarity in terms of their pottery and tomb styles.

Ⅰ. 머리말

Ⅱ. 성주지역 출토 5~6세기 토기의 분석

Ⅲ. 5~6세기 성주지역 정치체의 성격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