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대 울산 중산동 지배집단의 성격

The Character of Ulsan Joongsan-dong politic group in ancient

  • 41

울산 중산동은 경주 구어리와 죽동리, 구정동, 조양동을 거쳐 신라 중심부로 들어가는 관문에 위치한다. 이들 지역은 입지적인 특성과 공통된 문화 기반 위에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중산동 지배집단은 묘제의 변화양상과 부장유물을 통하여 볼 때, 시기별로 성격을 조금씩 달리한다. 목관묘 축조기에는 주변의 죽동리나 조양동에 비하여 약세를 보이지만 부장유물을 통하여 서열화된 사회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서열화는 중심세력에 가까울수록 세분되어 있다. 순수목곽묘 축조기에는 중산동과 주변지역 사이에서 대등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무기와 마구, 농공구, 토기 등이 부장되며, 묘광의 면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유물은 대부분 장식과 의기성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중산동 지배집단은 세장방형 순수목곽묘를 축조하면서부터 중심세력으로 부상한다. 각 지역집단은 자체적으로 지배조직을 갖추며, 성층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위석목곽묘 축조기에는 철제무기 및 농공구를 바탕으로 한 군사력과 생산력의 증대로 사회분화가 가속화된다. 위석목곽묘와 순수목곽묘, 적석목곽묘, 석곽묘 등이 모두 공존하며, 지배집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채용된다. 평면형태, 묘곽의 면적, 부장유물의 종류가 지위별로 차이를 보인다. 중산동 지배집단은 신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5세기 무렵부터 분묘의 규모와 평면형태, 부장유물 등에 제약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Joongsan-dong, Ulsan located in enterace to Gyeongju in ancient. It has been connected with Jookdong-ri, Goojeong-dong, Choyang-dong toward center of Gyeongju. These areas had been formed in not only close relationship on common cultural foundation but geographical contiguity. It’s difference for character each period that have been indicated changing pattern of graves and burial remains to the Joongsan-dong politic group. We’ve got to know social structure arranging ranked to make an observation on burial remains even though it’s poorer than Jookdong-ri, Choyang-dong politic group in step for wooden chamber tomb. The arranging rank had been subdivided to close the main strength. It had been become on an equal footing between Joongsan-dong and it’s around region in step for wooden chamber tomb. It was difference to burial remains that those are various kinds of arms and horse trappings, tools, earthenwares etc. each square of grave hollow had been buried in the tomb. The remains were mostly represented ornament, religious meaning strongly. Joongsan-dong politic group had been become the main strength from wooden chamber tomb step that square form were too lengthy. Each politic groups had started to organize itself for specialization. It had been promoted social specialization from increasing iron arms, tools standed as a symbol for armed strength, production capacity in surround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 step. All pattern of graves that those are surrounded stone-type, pure, filed stone-type of wooden chamber tomb and stone chamber tomb have been coexisted in Joongsan-dong politic group. The pattern of graves had been selected variously for character of governing classes. It’s difference volume of that those are flat form of grave, square of grave hollow, burial remains for each politic status. The Joongsan-dong politic group had been changed volume and flat form of grave, burial remains etc. as 5th century that the group had been started to govern from the Gyeongju directly.

Ⅰ. 머리말

Ⅱ. 묘제의 분류와 구조분석

Ⅲ. 묘제의 변화양상과 중산동 지배집단의 성격

Ⅳ. 중산동고분군과 경주 지역집단의 관계

Ⅴ. 맺음말

로딩중